-
-
나를 채우는 하루지식습관 1 : 홀로서기 - 1일 10분, 술술 읽히는 이야기 교양 ㅣ 나를 채우는 하루지식습관 1
박선영 외 지음 / 한빛비즈 / 2024년 5월
평점 :
『나를 채우는 하루 지식 습관』 1, 2 1일 10분, 술술 읽히는 이야기 교양

박선영 외 지음/ 한빛비즈(펴냄)
철학에서 과학, 언어, 논리를 거쳐 심리학, 지리, 생물학, 전자 기기, 경제, 다시 공동체까지 현대인의 교양 그전 범위를 다루는 책 두 권을 만났다. 1부 자립에서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온 키워드는 '외로움'이다. 울지 마라, 외로우니까 사람이라는 정호승 시인의 시가 떠오른다. 역사상 가장 똑똑한 인간들, 디지털 노마드의 시대.
사람은 누구나 외롭다. 외로움을 잘 다룰 줄 아는 사람만이 스스로 자립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책 서론부의 언급한 고슴도치 딜레마... 쇼펜하우어 대세 시대인가? 오늘 연수에서도 강사님이 #고슴도치딜레마 이야기를 했다. 사람 간에는 서로 적절한 간격이 필요하다는 얘기인데 간격이 참 어렵다. 심리학의 연구 대상은 늘 사람의 마음이다. 고대부터 지금까지 늘 연구되어온 인간!! 철학 없는 시대 이런 책 읽기조차 소외되고 점점 숏폼이 그 자리를 차지하는 요즘이다. 사람의 집중력 시간은 8초라고 들었다. 특히, sns 피드에서 사람의 시선을 쓰는 데 걸리는 시간은 딱 3초라고 한다.
철학, 과학, 인문학의 수많은 소재들을 다루는 책이다. 독자들마다 눈에 들어오는 챕터가 다를 것이다. 처음에는 목차를 보고 순서대로 읽다가 문득 어느 페이지에서 멈췄는데, 철학의 고립과 지적 사기라는 페이지였다^^ 저자들은 철학을 단편적이기는 하지만 꽤 이슈가 될 만한 사안들을 다룬다. 과학적 소통 없이 자립적 혹은 스스로 고립하는 존재는 결국 문제를 일으키거나 단절되고 만다는 교훈을 준다. 지금의 내 모습 같기도 하고 코로나 이후 여전히 침체해있는 우리 경제의 모습 같기도 하다. 자력에서의 편향성, 초연결 된 사회에서의 나를 지키는 법, 결국 미시세계에서 거시 세계로 나아가는 과정일지도 모른다^^
과학에서 빛 에너지를 나눠쓰는 부분, 우주에 대한 오래된 상식 그리고 초연 결의 시대인 요즘 관심사인 소셜미디어 이야기도 흥미로웠다.
미디어는 메시지다. 미디어는 인간의 확장이다 p235
달에 관한 이야기, 달력과 수학의 비교하는 부분도 내 관심사였다. 달에 대한 잘못된 오해를 바로잡아주는 부분이었다.
호모 라이터스라는 이름으로 모인 저자들, 1권은 책 목차를 먼저 읽어야 한다. 목차만 봐도 도대체 이 방대한 책의 방향성이 무엇인지 와닿는다. 혹시 이 책을 함께 읽는 분들이 계신다면, 그 많은 키워드 중에 무엇이 와닿을지 사람마다 다르니까 더 궁금하다^^
2권에 와서는 1장에서 서술된 역사 편!! 역사상 가장 영리한 시대라는 디지털 유목민 시대, 그런데 디지털 유목민 혹은 원주민의 특징을 읽어보니 MZ 적인 부분과 많이 겹친다. 지도에 대한 부분도 흥미롭다. 지도와 나침반의 역사, 철학의 내용은 사변적이라 주변의 조건과는 무관해 보이지만, 철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사실도 책을 통해 알았다. 인류 역사에서 바퀴가 처음 등장한 것은 수메르 문명 발상지인 현재의 이라크 땅 우르크 지역에서 발견된 그림글자다. 로마제국이 빠르게 세계로 뻗어나간 이유도 바퀴 때문이다.
2권 역시 경제와 정치, 그 안에 다양한 키워드들, 급변하는 세상의 기술 & 우주의 기원과 진화, 일상 과학에 이르기까지 방대한 내용을 다룬다. 1권을 읽을 때 처음부터 읽었는데 굳이 순서대로 읽지 않아도 무방하다^^ 책을 읽으며 예전에 읽었던 지대넓얕이 떠올랐다. 다양한 영역의 방대한 지식을 두 권의 책으로 매일 10분씩 만나는 기쁨!!!
3나를채우는하루지식습관, #박선영, #서진완,
#이창후외지음, #1일10분술술읽히는이야기교양,
#호모라이터스, #교양백과, #한빛비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