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작품 ㅣ 을유세계문학전집 97
에밀 졸라 지음, 권유현 옮김 / 을유문화사 / 2019년 5월
평점 :

에밀 졸라 (지음)/ 을유문화사 (펴냄)
토마스 만 선생님의 998페이지 분량의 《마의 산》1, 2권을 함께 읽어주신 나의 독서인친, 최애 인친! 특별히 존경하는! 이 시대 마지막 찐 독서인 돌쌤 선물!!!
세상에! 나의 착각! 에밀 졸라를 피드에서 몇 번 언급한 적이 있어서 심지어 이 책의 소감을 업로드 한 줄 알았다.
읽은 지 오래돼서 이번에 리뷰 쓰면서 몇 달 만에 다시 꺼내 본 책!!
예술_ 인간이 늘 지고 마는 천사와의 싸움
어떤 관점에서 보느냐에 따라 이 소설은 예술 소설이 되기도 하고, 자전소설의 카테고리에 넣을 수도 있겠다.
소설에서 언급되는 주인공 클로드의 모습에서 독자들은 폴 세잔을 떠올린다는데 내게는 여러 화가들이 겹쳐 보였다. 소설은 자전적인 성향을 떠나 그 존재로 큰 의미가 있다. 에밀 졸라가 풍자했던 시대적 분위기, 예술계의 모순, 이에 순응하는 화가들의 모습, 타협하는 사람, 자신의 이익만 따지는 사람, 청탁과 부정부패가 만연한 모습이 낯설지 않다. 지금은 다른가? 새로운 화풍을 도외시하고 혹시라도 대중들의 호평을 받으면 너도나도 따라 하는 분위기.
그럼에도 불구하고 에밀 졸라는 왜 결말을 그리 몰아갔을까? 졸라는 세잔을 위해서 썼다는데 결국 세잔은 받아들이지 못했다. 이 작품을 떠나 인간적인 면모에서 나는 세잔보다는 에밀 졸라는 택했는데.... 그러나 다른 우주에세 에밀 졸라는 만날 수 있다면? 물어보고 싶다. 왜 가장 사랑하는 것을 죽음으로 몰아가야 했을까.. 그렇게까지 해야 했던 이유를....
공모전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게 된다. 미술뿐 아니라 문학계에도 등단제도가 있다. 등단한 작가와 아닌 작가....
너무나 다른 성장 배경을 가진 두 사람 에밀 졸라와 폴 세잔의 우정!! 그러나 에밀 졸라가 이 소설을 발표하면서 두 사람의 우정은 차갑게 식었다. 아니, 폴 세잔에게 깊은 상처를 주었다. 이런 관점이 우리가 아는 일반적인 관점인데 내가 1월에 읽고 서평단 모집한 전 영남대 박홍규 교수님이 쓴 #틈새의시간 출판사 출간된 《에밀 졸라와 폴 세잔의 반항과 창조의 브로맨스》를 읽어보면 드레퓌스 사건에서 이미 두 사람은 그 우정에 금이 갔던 것으로 보인다.
이 책에는 두 사람의 어린 시절 우정과 성장과정, 나아가 결별까지 그들의 삶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또 영화 《나의 위대한 친구 세잔》에서도 그들의 삶이 조명된다.
덧. 위대한 인물에겐 그보다 더 위대한 친구가 있다. 역사가 증명한다. 예를 들면 톨킨에겐 루이스가 마르크스에겐 엥겔스가 소로에겐 에머슨!!!! 그리고,
위대한 인물은 결코 아니지만 우주에겐 돌쌤이.... 나의 독서 멘토!! 읽기 어렵다는 책들, 시베리아 유형지로 우리는 또 함께 떠날 예정이다. 《카라마조프의 형제들》 《악령 1, 2, 3》 하!!! 우린 러시아로 갑니다.... ( 하 ㅠㅠ 서평단 모집할 책 쌓아두고 러시아 소설만 파고 있는......)
소설은 상상이 아니라 현실을 담는 과학이다. 이런 관점이라면 나는 전적으로 동의한다!! 소설 만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