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읽자마자 이해되는 열역학 교과서
이광조 지음 / 보누스 / 2024년 9월
평점 :

이광조 (지음)/ 보누스 (펴냄)
물리학은 에너지를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서술된 첫 문장. 그렇다면 열역학이란 무엇인가요. 세상은 수많은 물리 법칙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주에 존재하는 에너지의 총합은 일정하다'라는 법칙이다. 그렇다면 위대한 물리학자들은 이런 법칙을 어떻게 알아내게 되었을까라는 의문이 생긴다.
사전적 의미에서 열역학이란? 물리학의 한 분야로 에너지, 열, 일, 엔트로피와 과정의 자발성을 다루는 물리학의 한 분야라고 한다.
개별적 접근법보다는 전체를 분석해서 결론에 도달하는 방법 즉 거시적인 분석을 통해 열역학에 다가간다. 학생들이 과목을 선정할 때 한참 망설이는 것이 물리다. 물화생지 중에 이과생 뿐 아니라 문과생도 수업을 들어놓으면 크게 유용한 물리!!!
그런데 수학이 기본 베이스가 되어있지 않으면 너무 힘들다. 이 책은 학생의 관점에서 쉽게 설명하려고 애쓴 결과물이다. 현직 중학교 과학 선생님의 책이라 그 눈높이를 학생에게 맞춘 것 같다.
그럼에도 혹시 이해가 어려운 챕터가 있다면? 각 페이지 끝나는 부분에 따로 정리된 요점을 먼저 읽어보면 어떨까? 그 순서가 바뀌어도 무방할 것 같다.
2장에서는 성향이 정반대인 기체의 부피와 압력에 대해 만난다. 무엇인지 정확히 모르지만 이름은 많이 들어본 샤를의 법칙.
보일의 법칙과 샤를의 법칙 설명이 끝날 무렵 아보가드로가 등장한다 ㅎㅎㅎ 지금 생각해 보면 고교 때 물리 선생님은 여자 선생님이셨다. 작은 키에 두꺼운 안경을 쓴 농담 한마디 하지 않는 분이셨는데 덕분에 물리가 더 무겁게 느껴졌다.
에너지 교환은 거래라는 문장,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의 원리가 언급된다. 오늘날 물리가 조금 더 많은 관심을 받는 이유는 영화 오펜하이머 효과이기도 하다. 그리고 또 한 축은 나로호, 누리호의 성공적인 발사 영향이 아닐까? 천체물리학, 우주의 꿈을 꾸던 많은 학생들에게 큰 자극이 된 우주발사체 관련 기사들....
특히 6장 열과 에너지와 엔트로피 단원이 흥미로웠다. 누구도 제대로 설명하기 힘들다는 열역학 제2법칙의 언급, 엔트로피에 대한 설명 등 이 책 읽자마자 시리즈는 수 과학 분야에서 학생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책이다.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