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왜 작은 일에도 상처받을까 - 관계에 서툴고 쉽게 상처받는 사람들을 위한 심리 처방
다장쥔궈 지음, 오수현 옮김 / 비즈니스북스 / 2017년 6월
평점 :
품절


지금 내 모습이 내가 바라고 원하던 모습인가에 대한 회의가 드는 순간, 그 답답한 순간이 있었다.   순간의 기분에 따라 그렇게 다운될수 있는 걸까.  요 몇년간 일에 치여 지내다 순간 순간 이렇 느낀때가 있었는데,  근래 더욱 그런 결핍이 심했을까, 위축된 기분을 풀고 싶어 선택한, 힘든시간에 만난 책이다

 

상대를 배려하다 보니 더는 내가 아니고 나의 색은 없는것 같았다.  평소 타인의 평가나 혹은 지나치는 누군가의 말에 그닥 의미를 두지 않는 편이고, 스스로도 대수롭게 생각하지 않는 타입이지만 스트레스인지 자신감의 결여인지 힘빠지고 흔들리는 타이밍이었다

 

늘 그랬던 것처럼 겉으로는 표현하지 못했지만 아마도 내적으로 깊어질지 모를 마음 상처에 난 괜찮아’하며 상처를 감출 작은 밴드하나 붙여놓고 감정을 추스릴 시간 같은건 갖지 못했을 것이다

​예기치 못한 표현들이라 더 아팠을지 모른다. '사랑이라는 감정을 살해했고라는 본문의 글도 그랬는데,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반복적으로 생기는 문제의 중요 키워드가 될 감정프로세스를 건드리는 문장이어서다.   감정을 묻어두고 상대와의 사이를 걱정해 마음과 감정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는 것으로 굳어졌다.   나도 모르는 사이, 말하지 않아도 알아주길 바라는 어려운 주문을 상대를 통해 기대한건 아닌지 아쉽다.


중요한 부분인데도 싫든 좋든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타이밍을 놓치거나 그닥 나의 감정을 케어하지 못했다.  그건 배려도 무엇도 아닌 자신의 감정을 속이는 일이고 어쩌면 상대를 힘들게 하는 일이다. 


바뀌어 보자고 마음먹었지만 행동하기에는 많이 부족했던 시간들도 떠올릴수 있었다.   변화를 원하지만 선택의 기로에서 행동을 선택하지 못했던 내게, ‘선택을 선택하라는 메시지는 마치 숙제같았다.   변화하고 싶지만 변화를, 행동을 선택하지 못했던 시간들을 떠올리면 사실 나를 위한 숙제와 다름없고, 선택장애인양 선택하지 못한 후회들이 흔적처럼 남지만 작가는 그런 부담스런 마음을 인지한듯 조언한다.   외부로 드러난 문제는 파생된 문제들일 뿐, 중요한 것은 근원적 문제를 풀어 스스로 답을 얻어 성장해 나가는 것이라고.   그리고 어떤 경우에도 자신을 먼저 챙기고, 사랑하라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