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나는 고민하지 않는 방법을 고민중이다 - 걱정하는 습관을 가진 당신을 위한 심리 치유 노트
엘리엇 D. 코헨 지음, 전행선 옮김 / 애플북스 / 2012년 4월
평점 :
절판


우선은 무한 걱정속에 똬리를 틀고 앉은 오류를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전망으로 대체해야 한다. 그리고 그 전망을 받아들임으로써 바른길로 나아갈 수 있는 합리적인 목표나 열망을 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첫째, 고민거리를 극단적인 재난으로 몰아가는 대신에 직면하는 용기가 필요하다. 둘째, 인간으로서 자신이 다른 이에게 얼마나 유용한 사람인가 혹은 얼마나 맡은 역할을 잘 수행해 나가는가와 상관없이, 그 자체로 가치있다는 사실 배워야 한다. (중략) 셋째로, 자기 자신과 세상에 대해 좀 더 현실적인 기대를 계발해 나감으로써 의무감에서 비롯된 완벽주의를 평정심으로 바꿔나가야 한다.

 

 

- '무한 걱정을 극복하는 4단계 방법' 중에서 발췌 -

 

 

 

 

if의 질문에 "일어나지도 않을 일을 왜 생각해?" 되묻는 이가 있었다. "그런가?" 생각하고 말았지만 생각해 보면 있지도 않은 일에 에너지를 쏟는 일은 헛된 고민과 과한 걱정에 해당된다.

친척 어른 분중에 늘 걱정을 안고 계시는 분이 계셨다. 사서 걱정을 한다고 해야할지, 책임감에서 비롯된 염려와 걱정이 습관처럼 굳어진 것이 안타까웠는데, 상담 치료를 통해 많이 좋아졌다는 안부를 들었다.

그러고 보면 나도 예전에는 걱정을 많이 하는것이 오히려 문제의 요인을 없애주는게 아닌가 심각한 착각을 하던 때가 있었다. 걱정하는 마음이 오히려 편했던 것인데, 결국 자기 자신을 더욱 힘들게 만드는 일이다. 불안 혹은 부담감으로 걱정에 휩싸이는 일로 걱정하기 위한 핑계로 걱정이 늘고, 우려되었던 일 이외에 다른 일에서 문제가 생기기도 했고, 문제의 해결과는 다른 방향으로 흘러갔다. 이유는 걱정은 그 상황을 통제할수 없으며 오히려 다른 문제들에 편승하기 때문이다. 부정적 메세지와 결합하는게 아닌가 싶다.

 

현대인들이 불확실한 미래를 걱정하는것은 당연한 일이지만, 걱정을 위한 걱정은 문제와 직면하지 않는 고쳐야 할 습관으로 책에서의 '강박적 습관'이라는 표현이 무섭지만 맞는것 같다.

책을 읽으면서 가장 핵심적으로 와닿는 것은 스스로 걱정을 정당화 시키려는 책임감, 의무감, 죄책감과의 연결고리를 끊어야 한다는 것( 불안과 초조의 상태로 상황을 확대해석하며 속끓이던 걱정이 도움 된 일은 없었다)과 절대 자신에게서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는 자아가치의 개념의 중요성이다. 그런 의미에서 과테말라의 전래동화에서 유래했다는 ‘모든 걱정은 저희에게 맡겨 주세요’ 컨셉의 걱정인형은 아이디어 상품이 될만했다. 만성화된 걱정의 시스템을 멈춘다는것이 한번에 이루어 지기는 어렵지만, 훈련으로 가능하다고 본다. 걱정보다는 대안을 제시하는 태도, 인지적 행동적 과정을 접하며 상황에 따라 대입해 볼 수 있을것 같다.

무의식적으로 자기비하를 내뱉는 경우를 보았다. 단순한 어리광일수 있고, 힘든 삶의 토로일수도 있지만 말은 절대 생각없이 나오는게 아니라 믿기에 그런 식의 자기비하는 반복될 뿐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고민에의 탐구, 객관적 분석과 접근이 눈에 들어온 책, 문득 그분께 이 책을 전하고 싶어졌다.

 

 

해당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w0607 2012-04-06 13: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서평 잘 읽었습니다.... 별점 하나인 것 보고 좀 놀랐어요...
저는 이책 참 잘 읽었거든요. 근데 서평 읽어보니 잘못 누르신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