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살기 5년차 혼자살기 시리즈 1
다카기 나오코 글.그림, 박솔 & 백혜영 옮김 / 매일경제신문사 / 2012년 6월
평점 :
절판


처음엔 영화 4 이야기가 연상됐지만 방을 구하는 문제부터 현실적으로 다가왔다.

환상에서 깨어야 했다. 자칫 친구들의 아지트가 될지 모르니 몇가지 철칙이 있어야 할것 같다. 생일 선물이 실속형으로 바뀌는 부분에선 웃음이 났다. 과장되지 않은 친근한 일러스트가 좋다. 이상적인 집을 보면서 솔직히 빵터졌다.

내가 진정 포기할수 없는 부분, 포기할수 있는 부분을 알아가는 과정에서 욕심을 최소한으로 하게 되지 않을까 생각되는데 실제는 어떨지 궁금해졌다. 포기할수 없는 책만해도 공간을 많이 차지하니 무리이긴 하다. 혼자서 잘사는 사람은 어디서든 해낼 것이라 생각한다. 그런 부분에서 스스토의 테스트가 될것 같다.

부모와 가족이라는 울타리 안에서 내가 많이 행복했구나, 혹은 사랑받았구나 느끼는 일들이 새삼스러울 것이다. 소중함을 느끼는 다시 계기가 것이다.

혼자 사는 자유와 모든 혼자 알아서 해야 하는 것의 책임이 발란스를 맞추는 일이 중요하다. 사랑을 받기만 했던 입장에서 스스로 알아서 처리하는 입장으로 바뀐다. 어른, 현실의 생활인으로의 면면이 보였다.

번화가에서 독립해서 살던 친구가 현관에 남자신발을 항상 두었던 , 인터넷 쇼핑으로 컴퓨터를 구매하고 설치기사가 함께 있어줬던 일들이 새록새록 떠오른다. 이제는 그런 일들이 이상 남의 일이 아니다. 친구가 아픈 모습이 가장 안쓰러워보였다. 구비해야할 약들, 식량들에 대해서 다시한번 꼼꼼하게 챙겨야 같다. 필요한게 있음 집에 들어오직 않은 식구들에게 부탁하기 일쑤였는데, 모든 것을 가질순 없으니 경제관념을 포함한 나름의 준비가 철저해야 같다.

반드시 혼자 살면서 생길수 있는 상황이라기 보다, 난감한 일들에 대한 상황이 사회초년생들에게 공감을 일으킬 같다.

혼자 사는 일에 대해서는 시각이 많이 달라졌는데 어렸을때는 독립이라고 생각하고 하나의 로망으로 자리잡기도 했었다면, 지금은 어쩌면 상당히 구체적으로 두렵기까지 부분이다.

1 가구가 많은 지금에서는 이런 부분이 하나의 문화로 자리잡고 있고 성격에 따라 다르다고는 하지만 여러가지 문제로 부모입장이건 가족입장이건 솔직히 쉽지 않은 선택이다. 하지만 언젠가는 도래할, 혹은 선택할 있는 부분에 있어서 마음을 열어두고 있어 읽게 되었다. 일본에서 자취하던 언니도 생각나고 비슷한 부분도 있을것 같고 흥미롭게 보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