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항 1 버지니아 울프 전집 17
버지니아 울프 지음, 진명희 옮김 / 솔출판사 / 2012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작품을 읽으며 당시 사회문화, 여성의 사회적 위치와 교육, 결혼관을 엿볼 수 있다.

소설 댈러웨이 부인에서 주인공 댈러웨이 부인이 작가의 내면을 표현한 인물이 아닐까 생각했었다면 이 작품에서는 헬렌, 레이첼 등 여러 인물에서 내적 외적으로 자전적 스토리가 투영된게 아닐까 짐작해 볼 수 있었다.

인물과 사건의 구성을 큰 틀로 이어가기 보다, 인물의 감정에 따라 내면을 자세하게 표현하여 전달하고 있어 익숙하지 않은 부분에서 집중이 쉽지 않기도 했다. 그런 이유로 초반에는 몰입하지 못하여 주체가 되는 인물들의 설명을 놓치기도 했는데 반복해서 읽어가는 등 시행 착오가 많았다.

많은 인물들이 등장하지만 그 중에서도 소설의 큰 줄기를 이끄는 인물은 스물네살의 젊은 여성 레이첼 빈레이스다. 선박사업을 하는 윌로우비의 딸로 어머니의 부재가 느껴지는 탓에 누군가에게는 아이처럼 보살핌이 필요한 대상으로 보이기도 한다. 아버지의 화물선 유프라지니호 탑승 여행중, 외숙모와 외숙부가 되는 엠브로우즈 부부, 정치성향의 댈러웨이 부부와 함께 여행을 하게 되고, 예기치 않게 예민하고 강인한 내면의 외숙모 헬렌의 요청을 받아들여 그녀를 통해 변화의 시기를 맞이하게 된다. 주로 인물과 대화와 편지속에 가치관에 따른 지적 유희를 수단으로 한 서로의 소통과 대립이 표현된다.

살아가다 보면 미리 알았으면 좋았을 얘기들, 혹은 얘기치 못한 연민의 감정이 헬렌과 레이첼을 통해 현실적 조언자로 그려진다.

레이첼은 아버지와 떨어져 엠브로우즈 부부와 남미의 휴양지 어느 호텔에서 머물게 되고, 레이첼과 헬렌은 소풍 초청에 테렌스 휴잇, 세이트 존 허스트 등을 만나고 정식으로 인사를 나누게 된다.

인간관계와 소통에 대해 알아가고 무도회를 통해 서로를 더 가깝게 알게 되고 소통이란 얼마나 감사하고 즐겁고 행복한 일인가에 대해, 반면 몰이해는 또 얼마나 상대에 대한 배려야 바탕이 되어야 하는가에 대해 알 수 있다.

두 남자 휴잇과 허스트, 레이첼과 헬렌의 감성적 지적 교류도 중요한 부분이며, 사랑이라는 복잡하고 사적인 감정을 되짚어 볼 수 있다.

출향은 버지니아 울프의 작품중에서 과도기적 작품으로 보이며, 개인적으로는 댈러웨이 부인 이후로 오랜만에 읽어보는 소설로 모더니스트로의 방향 뿐 아니라 정치적 성향까지 드러나 있다. 이 작품을 통해 어떤 얘기를 하고 싶었을까, 예상처럼 어려운 소설이었지만 전형적인 사랑이야기가 아닌것에 더욱 의미가 있었고, 놓치기 쉬운 섬세한 변화에도 심혈을 기울인 점이 전달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