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세계 일주로 자본주의를 만났다
코너 우드먼 지음, 홍선영 옮김 / 갤리온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대기업과 가난한 나라 사람들과의 관계에 대한 이야기인 동시에, 오늘도 그들이 만든 물건을 구입하는 우리 자신에 대한 이야기이다.

우리가 좋아하는 기업들이 제3세계에 있는 정체를 알 수 없는 공장과 관계를 맺고 있다면 우리는 의지와 상관없이 불편한 삼각관계에 얽히게 된다.

당신이 품고 있는 생각을 뒤흔들면서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이 있음을 보여 준다. 이는 현재 대대수 기업이 나아가겠다고 외치는 길과는 다른 길이다.

- 프롤로그‘왜 열심히 일하는 사람들이 점점 가난해지는가’ 중에서

 

올바른 가치 지불의 의미로 선택하게 되는 공정무역커피. 브랜드의 마케팅 광고뿐일지 모르지만 그래도 커피 농장의 노동력 착취는 아니겠지 믿고 싶은 마음이다. 이러한 공정무역과 실제의 모습을 확인하려는 의지에서 저자 코너 우드먼의 1년간의 여행은 시작된다.

니카과라의 안전장비, 예방책도 없이 바닷가재를 향해 심해로 뛰어드는 위험천만한 다이버들, 아프가니스탄의 농부들이 생존을 위해 양귀비를 재배하는 일 등. 니카과라의 하얀 바닷가재를 떠오른다. 대안이 아닌 자립할 수 있는 국가의 정책,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절실하다.

맥도날드의 열대 우림 동맹과의 계약이유로 알게 되었듯 윤리적 무역이 큰 사업이 되면서 윤리적 소비자를 겨낭한 마케팅일 수단으로 그 본래 취지가 퇴색되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수익을 보장받기 위해 기존 상품에 공정무역 로고를 입히는 기업도 있고, 기업이 이미지 관리로 인증 포장에 신경을 쓰는 사이 누군가는 반사 이익을 얻는다.

관계의 지속성과 모두의 이익을 우선으로 하는 공정무역의 사례도 소개되었다. 공정무역에 해당되지만 단지 인증을 위해서 생산자에게 배당되지 않는 공정 무역 로고 사용료를 지급할 것의 선택은 기업의 몫으로 남는다.

비인간적 생산의 아이콘, 중국의 폭스콘과 중국의 자국경제를 위한 라오스 고무산업의 투자를 비롯한 콩고, 잠비아, 앙골라 등을 통한 자원의 매집 작업이 국가의 정치 정책적 문제와 맞물려 풀어야 할 숙제로 안타까움이 느껴진다.

 

10명이 10톤은 거뜬히 캐낼 수 있어요. 20톤까지도 가능해요. 망치로 바위를 깨부수면 돼요. (중략)

“이 광물이 어디에 쓰이는지는 몰라요. 이것을 당신네 나라에서 쓴다는 것말 알고 있어요.

휴대폰과 노트북 컴퓨터, 그 밖에 무수한 전자제품의 회로판을 결합하는데 필요한 광물이다. 콩고는 주석이 무한히 묻혀 있는 몇 안되는 나라 중 하나다. 콩고의 주석이 없다면 수십억 달러가 오가는 전 세계 전자 무역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 본문 중에서 -

 

광산에서 일하는 콩고의 아이들은 소음,죽음의 공포와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땅속에서는 아이들이 광산을, 밖에서는 총을 든 군인들을 그린 삽화가 아프다.

기업은 이윤을 추구하고 고객의 취향에 맞도록 상품을 계발한다. 그 뒤에는 각기 다른 시스템, 그리고 보호받지 못해 착취 당하는 노동자와 생산자들의 이야기가 있다.

세계의 곳곳에서 벌어지는 위험천만한 일들이 우리의 소비와 관련이 있음을 알고 있고 그것에 대한 윤리적 의식을 더욱 단단히 할 필요가 있다. 생산과 판매, 소비를 위한 투명한 공정 무역의 개념에 소비자가 중심을 잡아야 한다. 개인적 취향을 무시할 수는 없지만 이른바 의식있는 소비라 함은 작은 것에서 시작되는 것이다.

금융맨 코너 우드먼의 두번째 도전, '나는 세계 일주로 자본주의를 만났다'로 현장감 있는 메시지를 전달받기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