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 그 설명할 수 없는 - 사랑을 움직이는 아홉 가지 비밀
율리아 파이라노.산드라 콘라트 지음, 박규호 옮김 / 쌤앤파커스 / 2012년 1월
평점 :
절판


 

세상을 달리 보이게 하는 사랑은 끊임없이 감성에 자극을 주고 넘치는 에너지를 선물하지만 반면, 소통없이 단절되는 힘들어지는 사랑은 많은시간 상처의 아픔과 상실에 놓이게 한다. 

인간에게 사랑이 없다면 얼마나 메마른 세상이 될지 답답한 마음이 들면서 동시에 이순간에도 사랑때문에 누군가는 너무나 가슴저린 상황일수 있다 생각하니 사랑은 참으로 어렵기만 하다. 

언제가 부터 애정결핍에 대한 시각이 달라졌다.  냉정하지만 스스로 만들어 내는 인간관계에서 비롯된 사랑의 패턴의 결과물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책의 제목처럼 사랑을 무어라 정의하기는 너무나 어려운 일이지만, 사랑과 행복을 추구하기에 문제점을 찾아가는 의미에서 생각해 볼 부분이 많았다.  

 

끊임없이 상처받지 않고자 무던히도 스스로를 감싸고 또 감싸기만 했던 이기적인 마음은 서로의 사랑을 더 힘들게 만들기도 했다.  지나고 보니 사랑의 방식은 사랑하거나 혹은 아니거나, 제3의 방법은 없었다.   그래서 사랑을 확장된 이기주의라 하는걸까, 마음이 없는 사람을 향한 시선에는 사랑이 머물지 못했으며, 사랑에도 노력이 필요하다는 말 당연히 맞는 말이지만 노력으로 사람을 사랑할수 있는 것인지 의문이 들었다.  

애착부분을 읽으면서도 공감했지만 올인하는 과정은 버겁기만 했다.  서로를 위해서라며 이별을 고하고, 아파하고 힘들어 했지만 근본적 문제는 매번 그때마다 혼자 고민하고 결론에 이르는 이기적 성향에 있었다.  책의 질문에 명쾌한 답을 내리기는 쉽지 않았지만 객관적으로 스스로의 사랑을 파악하기에는 의미있는 과정이었다.

그러고 보니 현실적으로 노력할수 있는 부분은 소개팅 나가서 몇번 만나보는 따위가 아니었다.  안타깝지만 스스로 변하지 않은 채의 만남은 또 다시 피로를 가져올 확율이 높다.     

영화 '러브레터', '이터널 썬샤인', '만추'를 보면서도 아픈 장면만 기억하진 말았어야 했다.  사랑도, 노력하지 않으면 학습된 패턴대로 가는 것이라라.  이쯤해서 객관적으로 스스로의 사랑을 진단해 볼수 있어서 결과와 상관없이 의미있었다.  사랑이라는 지극히 사적인 감정을 객관적으로 저울질한다는 생각을 가질수도 있겠지만, 혹자는 사랑으로 인한 그 아픔의 시행착오가 청춘에게 너무나 당연한것 아니냐 반문하기도 하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누군가 사랑때문에 힘들어 한다면 나는 조용히 이 책을 건네주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