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로 시작하라 - 성공하는 사람들의 먹히는 유머 전략
이상훈 지음 / 살림 / 2011년 10월
평점 :
품절


웃음은 우리를 즐겁고 건강하게 한다. 그런데 나는 왜 그리 인색했을까.

재밌는 사람, 유머있는 사람을 좋아한다고 말하지만 스스로는 그러지 못했다. 너무 진지모드로 보이는것 같기도 하고 말투때문이라는 얘기도 들었지만 이미지를 바꾸기는 쉽지가 않았다.

미소짓는 사람을 좋아한다고 보통은 말하지만 스스로 그런가에 대해서는 생각해 볼일이다.

그러고 보니 나야말로 책에서 말한 운명론자였던것 같다. 하지만 책을 읽으면서 나한테 유머가 아주 없는것은 아니라는 희망적인 느낌도 가질수 있었는데, 중요한 것은 노력이 현저히 부족했던 까닭이다. 적재적소에 필요한 유머를 구사해 내는 능력또한 노력에 의해서 후천적으로 달라질수 있다는것이 포인트다. 공감가는 웃음과 유머는 여유와 기본적인 정보의 능력과도 무관하지 않음을 알려준다. 

내가 원하는 유머는 경험적인 혹은 들었던 이야기 인데 반해, 프로들의 유머는 많이 다르다. 너무 비판으로 흐를수 있는 가닥을 잡아주는 느낌이다. 흔히 블랙코미디나 직설적인 화법이 통쾌하다고 느껴지기도 했는데 읽으면서 경험과 더해진 여유가 부러웠다. 반면 얼마전 tv에서더 보았지만 누군가를 불편하게 하는 유머, 상대를 깎아내리는 유머는 어쩐지 저급하고 불쾌했다. "웃자고 한말에 죽자고~" 누군가 이렇게 말할수도 있지만 듣는 상대도 즐거워야 유머가 아닌가. 그러니 쉽지만은 않을 것이다.
긴장하는 매순간에도 여유를 잃지않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다. 스트레스 받는상황에서도 여유있는 유머를 할줄 아는 사람은 그릇이 달라 보인다. 이제는 그냥 얻어지는 것이 아닌 그의 노력의 산물이라 생각하면서 노력으로 만들어 낼수 있는 유머는 정말 괜찮은 생활의 안티에이징이 아닐까.

유머있는 사람에게 호감을 느끼는 것은 때때로 따분한 분위기를 밝고 유쾌하게 만들어 줌으로써 많은 이들에게 웃음을 유발하니 능력자적 존재이기도 하고 한 호흡 편하게 지나갈수 있게 만들어 주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스스로에게 그런 능력과 소질이 없다고 생각해서 논외라고 생각했던 내게 미소, 웃음을 이끌어 내는 사람이 내가 될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도록 해준것만으로도 많은 발전인것 같다. 웃음유발자가 되어야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