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기하라 상, 잘 먹겠습니다 - 가로수길 일본인 셰프의 '진짜' 일본 요리와 푸드 토크
오기하라 치카시 지음 / 낭만북스 / 2011년 8월
평점 :
품절


식문화 예절부터 너무나도 달라 가깝고도 먼나라가 일본이라 할수 있다.  하지만 일본의 대표적 메뉴들은 우리나라에서, 우리나라의 요리는 일본에서의 트렌드로 각광받고 있는것이 지금의 현실이다.  그래서 우리에게 익숙한 일본의 맛이라면 회, 스시, 오니기리, 일본식 돈까스, 마끼종류, 우동, 생라면, 소바 등 다양하지만 어쩐지 한국인의 입맛에 맞게 조리된 특화된 일본요리가 아닌가 하는 느낌이 드는것도 사실이다.  

  

いただきます。밥상을 앞에두고 고마움을 표하는 그들의 인사처럼, 일상의 일본의 요리를 일본인 쉐프의 레슨으로 전해 들을수 있어서 소박하고 정감있게 느껴졌다.  일본 요리에서만 느낄수 있는 아기자기한 색감의 조화 등의 특징이며, 일본 된장의 매력 등 궁금했던 내용들을 각 레슨의 레시피와 더불어 쉐프의 음식 토크로 읽어볼수 있는데, 찬찬히 읽다보면 요리테마 에세이의 느낌도 살짝 묻어난다.





단백한 식감위주의 일본 사람들의 아침식사 레시피도 궁금했지만 제일 궁금했던 것은 일본된장 미소와 간장을 응용한 메뉴였다.   예전에 잠깐 일본요리를 취미로 배웠던 과정이 생각나면서 기본적으로 이론을 알고 있었으면 더 좋았겠다는 아쉬움도 들었다.   일본에서는 된장의 향을 중요히 여기고 짠맛은 간장으로 표현한다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는데, 그래서 된장의 향이 날아가지 않도록 끓기전에 불조절에 신경써야 한다는 것도 자연스레 이해되었다.

 

듣도 보도 못한 토리가와스(닭 껍질 초무침)는 일본의 향토요리중 하나로 색달랐는데, 개인적으로 지난달 수안보에서 8가지 꿩요리를 시식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너무 몰랐던 우리의 향토요리도 떠올리게 하는 대목이었다.   소박하게 물에 밥말아먹는 느낌이 연상되는 명란차즈케(명란녹차밥)의 따뜻한 녹차물에 밥과 명란, 고추냉이의 조화가 깔끔하고 따뜻한 느낌으로 연상된다. 

또한 실용메뉴 레시피중에는 우리에게도 친근해 보이는 메뉴들이 많았는데, 취향에 맞는 레시피를 찾아보는 재미가 있겠다. 

 

전반적으로 소박한 요리들이 많지만 그중에서도 퓨전의 멋이 느껴지는 요리들에서 색다른 맛을 찾아보는 요리의 즐거움도 느껴볼수 있다.  현지의 맛이랄까, 어쩐지 늘 보던 덮밥이라도 레시피를 보며 따라해 보고 싶은 생각이 든다.  소박한 느낌의 정감이란 아마도 이렇듯 삶의 향기가 느껴지는 그런 것인가 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