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육도·삼략 - 감추면서 펼치는 전략전술의 고전 ㅣ 명역고전 시리즈
강태공.황석공 지음, 김원중 옮김 / 휴머니스트 / 2025년 8월
평점 :


고대 중국의 폭군 주왕을 토벌하고 주나라를 세우는 데 혁혁한 공을 세운 강태공이 지었다고 알려진 《육도(六韜)》와, 한 고조 유방을 도와 천하를 통일하는 대업을 이룩한 장량이 황석공에게서 얻었다고 전해진것이라 해서 『육도삼략(六韜三略)』은 손자병법에 비해 대중에게 널리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내용 면에서는 더욱 깊은 철학과 통치론, 리더십 이론을 담고 있는 고전이다.
나라의 운영을 하려고 할 때 관리인의 자세를 어떻게 해야할지를 고민을 하는데 있어서 군주로서 조언을 얻게 되는 과정이 시작을 한다. 이 책은 나라를 어떻게 운영을 할지 혹은 경영을 할때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한 교과서 같은 고전이라 한다.

육도란 책을 처음으로 접하게 되면서 읽어가게 되었다. 읽어 가면서 <손자병법>이나 <사마천 사기>등의 방식을 1인칭 시점으로 논하는 이야기를 정리를 하거나 당시 시대성의 이야기를 담으면서 용병술과 제왕학의 지혜가 어우러진 책으로, 규범이 순식간에 뒤바뀌는 국제 정세와 사회 변화를 면밀하게 읽고 대응하고자 하는 모든 이를 위한 전략전술의 고전이다.
강태공은 “천하의 이익을 같이하는 자는 천하를 얻고, 천하의 이익을 제멋대로 하는 자는 천하를 잃”는다면서 승리는 모두가 평안한 세상을 만드는 데 목적이 있음을 강조한다. 전쟁으로 하나의 전략을 말한다. 전쟁터로 나간 장수로서 어떻게 장수들과 함께 전쟁의 파괴성과 그 여파를 분명하게 부각한다.

어떻게 전쟁에 임해야 승리할 수 있는지를 알려주는 책이다. 하지만 두 책은 단지 승리에 골몰하지 않는다. 전쟁에서 이기더라도 무엇을 위한 싸움인지 불분명하면, 또는 그저 지배자의 만족을 위한 싸움이라면 지극히 공허할 뿐만 아니라 해롭기까지 하기 때문이다.
나라의 통치에 사용이 될 수 있는 책이란 생각이 들어서 통치에 있어서 국민에게 벌이 아닌 어떻게 민심을 얻어서 신뢰를 얻는가가 먼저라는 것을 여기서도 가르친다. 억막하고, 벌하고 외면하면 민심은 곧 국가 상대로 민심이 파괴되는 순간이 오게 된다.
아무리 제도가 정비되어 있어도 정권은 오래가지 못한다. 이는 현대 민주주의 사회에서도 그대로 적용된다. 법보다 민심이 앞설 때가 많으며, 국민의 지지 없는 권력은 쉽게 무너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