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콜디츠 - 나치 포로수용소를 뒤흔든 집요한 탈출과 생존의 기록
벤 매킨타이어 지음, 김승욱 옮김 / 열린책들 / 2025년 9월
평점 :


콜디츠는 성이름이라 한다. 여기서 많은 역사가 있었다. 십자군 전쟁일 때는 요쇄이기도 하면서 2차 세계대전 때는 고급 간부들이 있었던 수용소라 한다. 여기서는 윈스터 처칠의 조카, 로스차일드 후손도 여기에 수감이 되었다고 한다.
1940년~1945년 까지의 일들이 기록으로 담겨져 있기 때문에 연도 별로 일어난 수감자들의 이야기들을 세세히 읽어 볼 수 있다.
탈출을 계획하기도 하면서 여기의 경비병들은 절대로 탈출은 불가하다고 생각을 하면서 새벽에 허술하게 경비를 섰다고 한다. 포로지만 하고 싶은 것들 하면서 지낸다. 신분의 차이에 따라서 대접이 달랐다고 한다.
이렇게 사실적이게 쓸 수 있었던 것은 인터뷰도 있기도 하지만 기밀 해제된 공문서, 생존자 인터뷰 기록, 포로 및 독일군의 저서 등을 토대로 수용소의 일상과 인물을 독특한 시각으로 재구성했다.
통행증은 포로들이 독일 경비병에게 뇌물을 주고 구한 진짜 통행증을 복제한 것이었다. 외관은 완벽했지만, 색깔이 맞지 않았다. 노란색 통행증을 써야 하는 날 회색을 내놓은 것이다.
여기서는 고문이나 그러한 이야기는 잘 없다. 고위 간부들이 독일경기병을 비꼬는 별명으로 부르곤 했는데 일부러 불러서 골탕을 먹이는 놀이를 했다고 한다. 으레 우리가 알고 있는 수용소 같은 고문이나 독으로 사람 인체 실험을 하는 일이 있지 않지만 여기서는 으레 수용소 역할은 한다. 가두고 자유를 빼앗을 뿐 모든 건 현대 감옥생활 같은 느낌이라 할 수 있다. 운동할 때 운동을 할 수 있는 시간이 있으며, 놀고 싶음 오락거리를 담배로 교환이 가능하다.
그러나 탈출시도도 끓임없이 하고는 했는데 포기하지 않고 하다가 탈출을 한 이도 있다. 실패를 여러 번 하다 봄 그 구멍을 찾을 수 있는 기회가 오고는 하는데 포기하지 않는 끝에 성공한 사례도 있었다.
포로들은 탈출하겠다는 결의를 갖고 협력하기도 했지만 출신 배경에 따라 수용소에서도 외부와 비슷한 계급 구조가 형성됐다고 책은 전한다. 일반 병사는 노동계급이어서 일을 해야 했고, 사립학교 출신 장교들은 중간 계급을 형성했으며, 영주들은 수용소에서도 상류층을 이뤘다는 것이다.

독재는 압재를 낳고 , 노예를 낳고, 잔혹함을 낳는다.
더 끔찍한 것은 독재는 어리석음을 낳는다는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