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버넘 숲
엘리너 캐턴 지음, 권진아 옮김 / 열린책들 / 2025년 3월
평점 :


여기서는 멕베스란 고전문학이 나온다. 멕베스가 어떠한 내용이었는가? 먼저 용맹한 장군 맥베스는 광야에서 마녀들을 만나 왕이 될 거라는 예언을 듣게 된다. 그 이야기를 전해 들은 아내 레이디 맥베스는 망설이던 남편을 부추겨 왕을 살해하고 반역을 일으켜 왕위를 찬탈하게 만든다. 그러나 막상 왕이 되자 불길한 일들이 벌어지고 맥베스는 다시 광야의 마녀들을 찾아가 세 가지 예언을 추가로 듣는다.
파이프의 영주 맥더프를 경계하라. 버넘 숲이 궁을 향해 다가오지 않는 한 맥베스는 패배하지 않으리. 여자가 낳은 자는 맥베스를 해치지 못한다.
이후 맥베스는 맥더프 일가를 몰살하는데, 잉글랜드에 있던 맥더프는 화를 면한다. 첫 번째 예언부터 막지 못한 것이다. 왜 멕베스인가? 여기서는 계급제의 귀족이 등장을 한다. 환경운동 단체인 멤버들은 이들을 혐오로 한다. 대표적으로 로버트 르모인 이라 할 수 있다.
애매모호한 선/악이 없는 등장 인물들이 나오면서 환경이란 어떠한 상황에서 인간이 존엄성을 버려가며 지켜지지 못하고 파과하며 우리의 지구가 위기의 모습을 띄고 있는 상태란 것도 동전 앞 뒷처럼 볼 수 있는 회색으로 보여지게 된다.
버려진 땅을 가꾸며 지속 가능한 공동체를 꿈꾼 환경운동 단체 '버넘 숲'은 높은 현실의 벽에 점점 좌절한다. 리더인 미라는 돌파구를 찾기 위해 산사태로 고립된 마을 손다이크를 탐사하던 중 억만장자 기업가 로버트 르모인을 만난다.
미라는 자신과 공동체 모두를 속이며 코스프레 한 토니를 용서할 수 없었다. 셸리는 중립적인 입장에서 토니와 공동체 회원인 미라 사이에서 이야기를 들어 준다. 미라는 이상을 추구하지만 목적을 위해 타협하는 현실적인 인물이고, 르모인은 탐욕스럽지만 합리적이고 논리적이다.
주인공 미라는 자신들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억만장자 로버트 르모인과 손을 잡으려 한다. 그러나 조직 내부에서는 그의 진정성을 의심하는 목소리가 나오며 갈등이 시작된다. 특히 강경파 멤버 토니는 르모인의 행동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하며, 이야기는 점점 더 긴장감을 고조시킨다.
단순한 환경과 자본의 대립을 넘어 세대 간 갈등과 정치적 양극화까지 건드린다. 밀레니얼 세대와 베이비부머 세대의 충돌, 진보와 보수의 이념적 논쟁, 공동체주의와 개인주의의 대립이 곳곳에서 드러난다.
버넘 숲의 일원들이 품었던 이상과 달리 이들은 2, 3부로 갈수록 현실의 벽 앞에서 점차 좌절한다. 선악 구도도 후반으로 치달을수록 점차 희미해진다.
신념과 정치적 입장으로 정체성을 형성하는 시대에 서로 다른 사회적 진영을 대표하는 인물들이 결탁하고 대결하는 모습을 풀어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