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 교과서 사회 6학년 - NEW 교과서에 맞춘 만화 교과서 6
삼성출판사 편집부 엮음 / 삼성출판사 / 2011년 1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사실상 초등학교에서는 중학교 내용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초등학교때 공부를 잘해야 중학교에서도 잘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초등학교 공부를 정말 열심히 해야 한다고 생각 한다.    

고조선은 우리 나라 최초의 국가로 기원전 2333년, 아사달에 도읍을 정했다.   홍익인간의 건국 이념으로 삼았다.   청동기 문화를 바탕으로 세워졌다.   농업 사회로 해마다 풍년을 기원하는 제사를 지냈다.    

8조법이란 사람을 죽인 자는 사형에 처해야 하고, 남에게 상해를 입힌 자는 곡식으로 갚아야 한다.   도둑질을 한 자는 데려다 종으로 삼는다 등이 있다.   그래서 당시 계급이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한글은 세종 대왕이 궁궐에 집현전을 두고 학자들을 모아 만들었다.   우리말을 소리나는 대로 쓸 수 있고 한자보다 익히기가 쉽다.   양반들보다 평민과 부녀자들이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만들었다.   우리말을 중국 문자로 표현하는 불편함을 없애고 우리 문화의 자주성을 높였다.    

조선 시대에는 특히 신분 제도가 강했는데 보통 양반, 중인, 상민, 천민으로 나뉜다.   양반은 관리가 되어 나랏일을 다스리는 데에 직접 참여했다.    

중인은 양반을 도와 관청에서 일했다.   상민은 농업, 수공업, 상업 등에 종사했는데 농민이 가장 많았다.   천민은 흔히 종이라고 불린 노비들과 천하게 여겼던 직업에 종사한 사람들이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강수완 2011-09-16 18: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야이런거인기도없거등걍삭제해
 
만화 교과서 사회 5학년 - NEW 교과서에 맞춘 만화 교과서 5
삼성출판사 편집부 엮음 / 삼성출판사 / 2011년 1월
평점 :
품절


이 책을 읽고 5학년 사회는 의외로 쉽지만 그래도 중학교에서는 거의 비슷한 내용으로 조금 더 어렵게만 된것 같아서 너무 쉽게 읽었다.   그래서 조금 무엇이 부족한 것 같기도 했다.    

조상들은 여름에 등등거리나 등토시등을 적삼안에 입어 땀이 옷에 달라붙지 않게 하였다.   죽부인을 삼베나 모시 이불 속에 넣고 자면서 바람을 잘 통하여 시원하게 잘 수 있었다.   부채로 바람을 일으켜서 더위를 식혔다.    

조상들이 겨울에는 두 장의 무명 사이에 솜을 넣어 누벼서 만든 버선을 신었다.   몸을 따뜻하게 하기 위해서 남바위, 조바위, 풍차, 굴레 등과 같은 방한용 모자를 썼다.   목화, 둥그니신 등과 같은 방한용 신발을 신었고, 특히 눈에서 미끄러지지 않게 설피를 신었다.    

우리 조상들은 사계절에 음식을 모두 다르게 먹었다.   봄에는 새로 돋은 나물을 캐 먹었고 삼짇날에는 진달래꽃을 떡으로 만들어서 먹었다.   여름에는 오이지, 짠지와 같은 짭짤한 반찬으로 땀으로 몸밖으로 빠져 나간 소금기를 보충해 주었다.    

가을에는 일찍 수확한 쌀로 빚은 송편을 오례송편을 만들어 추석 차례상에 올렸다.   겨울에는 동짓날에 팥죽을 쑤어 동치미와 함께 먹었고 메주를 쓰고 김장을 해 김치를 땅에 보관하며 먹었다.    

촌락은 인구가 도시보다 적고, 고층 건물이 별로 없으며 주로 작은 상점들이 많고 농사를 한다.   하지만 도시에는 인구가 많고 고층 건물이 많고 대형 상점들이 많이 있고 주로 거래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만화 교과서 사회 4학년 - 2010 교과서에 맞춘
장유정 글, 김지훈 그림 / 삼성출판사 / 2010년 1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중학교와도 관련이 있긴 하지만 그보다 6학년 사회에 밀접한 관련이 있어서 내가 6학년 사회를 못했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쉬운 내용이 나와서 재미있게 읽었다.    

우리나라 기후의 특징에는 사계절이 뚜렷하다.   계절에 따라 기온과 강수량의 차이가 많이 난다.   겨울에느 내륙 지방이 춥다.   남북의 기온 차가 크다.   우리나라가 그러한 기후를 가지고 있어서 좋은 점도 있지만 불편한 점도 많있다.   그래도 나는 우리나라의 계절이 좋다고 생각한다.    

무역을 통해 얻는 이익에는 외화를 많이 벌어들이고 국민 소득이 높아진다.   무역에 관련된 산업이 성장할 수 있다.   외국에 우리나라를 알릴 수 있게 된다.   우리나라가 무역을 통해 다른 나라에게 많이 알릴 수 있어서 기쁘다.    

도읍지가 있었던 곳에 대해 조사할 수 있는 방법에는 직접 견학하여 조사하기, 인터넷으로 조사하기, 도읍지에 있던 어른들 말씀으로 조사하기 등이 있다.   나는 지금 이 시대에는 인터넷으로 조사하기가 가장 쉬운 것 같다.   그러나 직접 견학하는 것이 기억에도 잘남고 좋은 것 같다.    

공주는 백제의 두 번째 도읍지로 우진으로 불렸다.   북쪽으로는 금강을 끼고 남쪽으로는 나지막한 산으로 둘러 쌓여 있어 적들이 침입하기에는 불리한 조건이다.    백제의 세 번째 도읍지인 부여는 사비로 불러졌다.    낙화압을 둘러보며 삼천 궁녀의 옛 전설을 알 수 있다.    

팔만대장경판은 벗나무를 잘라 3년 간 바닷물에 담가 두었다가 건조시켜서 판이 썩지 않도록 했다.   또한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팔만대장경판의 양 끝에 구리판을 붙여서 오늘날까지 보존할 수 있었던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만화 교과서 사회 3학년 만화 교과서 3
김남길 지음 / 삼성출판사 / 2008년 11월
평점 :
절판


이 책을 읽은 이유는 그냥 재미가 없을 까봐 다른 것을 보려고 했는데 이 책이 중학교 학습 내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3학년때 공부를 열심히 하지 않아서 후회된다.    

안내도는 고장의 자연 환경이나 자랑거리 등을 나타낸 그림지도이다.   안내도의 특징에는 고장의 모습이 간단하게 그림으로 나타나 있어 한눈에 고장의 특색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처음와 본 관광객 들이 주로 안내도를 들고 다닌다.    

생활을 편리하게 도우는 일에는 시장에서 필요한 물건을 파는 것, 공장에서 만든 물건을 운반 하는 것, 학생들에게 공부를 가르치는 것, 아픈 사람을 치료하는 것 등이 있다.   도시에는 생활을 편리하게 도우는 일이 많이 있어서 정말 좋은 것 같다.    

자연을 이용하는 것에는 논과 밭에서 농사를 짓는 것, 바다에서 고기를 잡는 것, 가축을 기르는 것, 산에서 약초를 캐는 것, 바다에 양식장을 지어 양식을 하는 것등이 있다.   자연을 이용해서 농촌에 있는 사람들이 불편함이 없이 잘 살고 있고 먹을 것을 더 깨끗이 먹을 수 있는 것이다.    

통계표는 조사하여 알아낸 수를 표로 나타낸 것이다.   통계표를 만드는 방법은 가로선과 세로선을 긋고 일정한 간격으로 나눈다.  가로선에 나눈 기준을 적고, 세로선에 수를 쓴다.   수만큼 표시하면 된다.   통계표는 어느 것이 어느 것 보다 많은 지를 쉽게 알 수 있는 막대그래프를 이용한다.    

산업은 총 3차 산업으로 나뉘는데 1차 산업은 자연에서 그대로 자연을 얻는 산업을 말하고 여기에 농업, 어업, 목축업등이 있다.   2차 산업은 1차 산업의 자원을 바탕으로 생산활동을 하는 산업인데 광업 제조업 등이 있다.   3차산업은1, 2차 산업에서 생산된 물건을 다루는 산업이고 서비스업, 무역업, 금융업 등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쏙 사이언스 - 물리ㆍ화학 - 교과서 쏙 과학 상식
초등과학지기 글, 박기종,유태랑 그림 / 좋은책어린이 / 2008년 4월
평점 :
품절


이 책을 일고 정말 재미있다고 느꼈다.   그리고 이런 책이 정말 많았으면 좋겠다.   왜냐하면 이런 책은 상식이지만 조금 과학적인 상식을 알려 주고 있다.    

물속에서 몸이 훨 씩 가벼워지는 것은 물속에서는 부력이 있기 때문이다.   물체가 물에 잘 뜨려면 될 수 있는 한 물체의 무게는 가볍게 하고 물체의 부피는 크게 해야 한다.   부피란 물체가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를 말하는데 부피가 클 수록 물체의 크기도 크다.    

소리의 높이는 진동수에 의해 결정된다.   진동수가 많을수록 높은 소리가 나고 진동수가 적을 수록 낮은 소리가 난다.   옥타브가 높을수록 높은 음을 낼 수 있다.    

빛은 똑바로 나아가는 성질이 이 있는데 공기 중에서 직진한 빛은 사진기의 렌즈를 통과한 후 카메라의 반사경에 반사된다.   그러면 초점 스크린이라는 장치에 사진을 찍고자 하는 모습이 맺히게 되는 것이다.    

오목렌즈는 렌즈의 가장자리 부분이 두꺼운 렌즈이다.   빛은 렌즈를 통과하면서 두껴운 쪽으로 꺾이는데 오목렌즈를 통과한 빛은 두꺼운 바깥쪽으로 꺾여서 나아가기 때문에 빛이 퍼진다.    

볼록렌즈는 가운데 부분이 두꺼운 렌즈로 빛이 안으로 꺾여 한 점으로 모인다.   볼록렌즈를 통해 가까이 있는 물체를 보면 실제보다 크게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