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꾸 잘못된 선택을 하는 사람을 위한 결정의 기술
필립 마이스너 지음, 한윤진 옮김 / 갤리온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중요한 결정 앞에서 많은 시간을 들이고 심사숙고하지만,

끝내 좋은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후회한 적이 있을 것이다.

한 마디로 선택과 결정에서 실패한 것이다.

그런 후회와 반성, 결정 실패의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또 자신의 결정 방식을 업그레이드 시켜 성장하고 싶다면..

이 책을 읽어보길 바란다.

저자는 선택하는 능력과 결단력도 훈련이라고 말한다.

자신은 타고난 리더십과 결단력이 없다고 생각하지 말고,

결정을 내리는 방법을 알고 익혀나가면 된다는 것이다~!

사람의 선택은 심리적 요인에 영향을 받기 마련이고,

특히 감정은 인지 왜곡과 의사 결정 방식에 비합리적인 영향력을 준다.

따라서 감정에 치우치고, 틀에 박힌 판단에 이르는

빠르고 무의식적인 시스템을 경계하고, 이를 기피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좋은 결정을 하려면 머릿속에서 일어나는 사고의 오류나 감정적인 반응이

내게 올바른 선택을 내리지 못하게 막는다는 것을 명심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또한 저자는 선택이 불러올 결과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사람은

결코 아무도 없다고 말하며, 그저 우리가 내리는 결정의 옳고 그름은

미래의 결과가 아닌 결정한 시점에서 즉시 평가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감정이나 선입견, 황당한 자기 과신이 아닌,

열린 사고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방법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 책은 <최고의 결정을 내리기 위한 7단계 프로세스>를 제시하고 가르친다.

첫째는 결정의 본질을 꿰뚫으라고 말한다.

진짜 문제의 원인, 겉으로 드러난 표면의 징후가 아닌

근본적인 원인을 분석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왜? 라는 질문을 3번 이상 던져보라고 조언한다.

둘째는 최적의 조언자를 구하는 것이다.

새로운 관점에서 적합한 의견과 비슷한 경험을 말해줄 경험자,

특정 상황에 꼭 맞는 '지식'을 보유한 사람을 찾으라고 말한다.

나와 유사한 상황에서 성공적으로 대처한 사람의 조언과 경험을 들으라는 것!

셋째는 나와 관점이 다른 사람을 찾는 것이다.

긍정적인 말보다 비판적인 의견을 제시해줄 사람을 찾아가

의견을 들어보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말한다.

이때 의견에 대한 두려움이 아니라 호기심으로 접근하며,

좋은 결정을 내리기 위해 자존심을 내려놓으라고 지적한다.

넷째는 나의 사고를 검증하는 것이다.

결정으로 인해 일어날 수 있는 결과의

긍정적인 부분과 부정적인 부분을 모두 고려한다.

나의 한계성, 실패로 일어날 수 있는 결과 등을

차분하게 심사숙고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다섯째로는 일단 하룻밤 자고 결정하는 것~

잠재의식을 의사 결정에 활용하라고 가르친다.

하루 더 결정을 유보하는 것이다,

주의를 전환하고, 충분한 수면을 보충하며

중요한 결정은 시간과 여유를 두고 다음날 확정하는 것..!

여섯째는 나의 결정이 5년 안에 가져올 결과를 예상하는 것이다.

리스크에 대한 두려움이 타당한지 아닌지를 검토하는 방법으로

이 결정으로 인해 일어날 결과를 차분히 떠올려보고,

5년 뒤의 결과를 헤아려 결정내린다.

일곱째는 비로소 결정하는 마지막 단계이다.

결정할 때 4단계의 원칙이 있는데,

기한을 설정하고->

3명의 지인에게 그 데드라인을 말하고->

의사결정 체크리스트를 확인하고->

결정 내리는 순서이다.

저자는 효과적인 노하우로 마음 챙김 명상을 덧붙이며,

이런 앱을 스마트폰에 깔고 활용하며~

호흡법과 주의력 향상에 도움되는 신체 훈련을 하라고 말한다.

그리고 결정에 대한 일상 훈련을 평소에 실행하면서

최근했던 가장 큰 결정을 분석하고 반성하는 가운데...

결정 훈련에 익숙해질 것으로 권하고 있다.

특히 데드라인을 정해 결정을 미루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는 부분이 인상적이었다.

완벽주의와 결정장애로 미루고, 결정이 어려운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책이라고 생각된다.

나는 도움이 된 책이기에~ 적극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