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세가 노화의 갈림길 - 젊음을 지속하는 사람, 단번에 늙어버리는 사람의 차이
와다 히데키 지음, 정승욱 외 옮김 / 지상사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령이신 부모님의 건강 문제로 종합 병원에 다니고, 간호도 하면서..

몸과 마음이 지치고 많이 힘들었는데..

실제로는 당사자인 부모님들이 더 힘들고 치료와 수술 등을 거치며

지치고 아프셨을 거라고 생각한다. ㅜㅜ

그러고 보니, 이 책의 제목대로 70세는 장수의 갈림길이 아닌가?

심히 공감되어 읽어보게 되었다.

이 책의 저자 와다 히데키는 고령자 전문 정신과 전문의로

노인 환자들을 30년 이상 의료현장에서 지켜본 경험을 바탕으로

깨닫고 정리하게 된 의학적 정보와 노하우를 전달하고 있다.

과거의 70대와 지금의 70대는 영양섭취와 체력 면에서 많이 다르다.

일본과 유사한 상황인 우리나라도 그런 듯하다.

최근 어머니를 수술해 주신 외과 의사 분도 이젠 70대가 된 암 분야 명의셨다.

이젠 70대 외과의 교수도 은퇴하지 않아도 될 만큼, 건장하고

허약한 젊은이들 못지 않은 힘과 정신력을 갖고 있는 것이다.

100세 시대라는 말이 정말로 맞다.

다만 오래 살아도, 알츠하이머나 치매 같은 뇌 질환이 중요한 문턱이다.

그래서 저자는 뇌 건강과 심리적 건강을 위해서 필요한 조언을 들려준다.

그렇다고 평생 늙어가는 것에 저항하며 싸우지는 말라고 말한다.

결국 아무리 젊게 살려고 애써도 80대를 넘으면

모두 늙어가게 된다고 지적하는 것이다.

70대가 늙음과 싸우는 매우 중요한 시기인 것은 맞지만,

80대를 넘기면 결국 늙게 되기에.. 그 현실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ㅠ

무엇보다 고령자의 행복과 삶의 질을 위해 중요한

뇌 기능과 운동 기능의 유지를 위해서는 생활습관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가르친다.

계속 공부도 하고 운동도 일도 해야 한다는 것..!!

눕는 것은 노화의 재촉이라고 꼬집고 있다.

또한 고령 운전자가 실제론 그리 위험하지 않다고 변호하기도 한다.

고령 운전자분들의 사고율이 얼마나 되는지,

우리나라도 객관적인 연구와 정책이 필요한 듯 싶다.

또한 나이가 들수록 고기를 꼭 먹고 햇볕을 쬐며, 외출도 자주하라고 권한다.

지인과의 대화와 교류, 인터넷 소통도 도움이 된다고 한다.

나이가 들수록 인간관계가 건강 면에서 큰 영향을 끼치며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육체의 질병이나 노화로 인한 활동성의 제약은

고령자의 심리와 정신 건강에도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부모님의 심리가 우울해지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하는데..

마침 이 책에서 좋은 정보를 얻어 감사했다.

고령 부모님을 두신 독자들은 읽고 도움받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