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의 진화는 구운 열매에서 시작되었다 - 700만 년의 역사가 알려주는 궁극의 식사
NHK 스페셜 <식의 기원> 취재팀 지음, 조윤주 옮김 / 필름(Feelm)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NHK 스페셜 다큐멘터리 5부작 '식의 기원' 취재팀이 1년 이상 탐구하며 찾아낸 이야기,

방송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부분과 생활 프로그램 내용까지 더하여 만든 책이다.

나는 일본의 다큐 방송을 보지 못했기에, 정리된 이 책으로 궁금증을 풀게 되었다.

식사가 주는 행복과 즐거움, 인생의 만족, 영양소가 미치는 건강의 중요성은

모두 공감하지 않을까 싶다. 그러나 먹거리가 다양하고 풍족한 현대에 성인병이 판치는 이유,

혼란스럽고 다양한 정보의 홍수 속에서 과연 무엇을 어떻게 먹으면 좋은지~

여전히 염려되고 고민되는 현대인들을 위한 유용한 연구와 메시지로 보인다.

취재팀은 인간에게 진정한 행복과 건강을 줄 음식을

<인류 진화의 역사>에서 발견하게 되었다고 한다.

질병의 씨앗이 되는 음식이 아니라, 보편적으로 이상적인 식사를 찾아

700만년 전의 인류 기원, 이후의 역사까지 파헤치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 예로 육식과 녹말의 가열 조리가 인류의 뇌를 크게 만들었고

가열 조리 이후 길었던 장이 작고 짧아지는 변화가 생겼으며,

이로 인해 인간이 높은 지성과 우수한 신체 능력을 얻게 되었다는 내용은

신선한 정보였다. 식문화의 변화와 함께 인류도 발달한 내용을 처음 알게 되었다.

(아니 세계사 교과서는 왜 이런 걸 구체적으로 안가르쳤음??)

또한 먹거리가 늘어나면서 인류의 수명이 늘어난 점도

음식은 인류 진화의 원동력이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책은 첫 챕터 주제부터 흥미로웠는데,

바로 탄수화물은 정말 적인가? (책의 표현으로는 적군일까? 아군일까?) 이다.

저탄수화물 다이어트와 당질제한식이 건강식과 다이어터들의 공식이 된 지 꽤 되었다.

그러나 이 책은 다이어트용은 맞는데, 건강식은 아니라고 분명하게 답한다.

(와우..이 책 안 읽었으면 어쩔뻔 ㄷㄷ)

하긴 밥에는 꼭 필요한 영양소, 섬유소가 함유되어 있어서,

밥을 아예 안 먹으면 안 된다는 내용을 의사가 쓴 책에서 읽은 바 있다.

그러나 본서는 단지 그 정도가 아니라,

<저탄수화물 다이어트는 신체의 다양한 문제를 일으킨다>는 연구 논문이

계속하여 발표되고 있음을 밝힌다.

실천편에서는 음식의 혈당 지수 극복하는 법을 알려주어,

당뇨병의 가족력이 있는 내게 도움이 되었다. *굿~!

이 밖에도 소금을 현명하게 섭취하는 법,

지방 오메가 6와 오메가 3의 바람직한 섭취 비율 같은 꿀팁과 생활 정보~

건강에 좋고 이상적인 레시피를 구체적으로 제공하여 준다.

일본인들의 식단에 어울리는 내용이긴 하지만,

밥을 먹는 같은 동양인으로서 공감하고 충분히 적용할 수 있다.

진짜 읽어볼만한 내용의 책이며, 역시 한국인의 밥 힘은 잘못된 것이 아니었다~! 

유익하고 실용적이며 알찬 책으로 추천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