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과 강철의 숲
미야시타 나츠 지음, 이소담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양과 강철의 숲이라는 제목을 보고는 대체 뭘 뜻하는건지 와닿지않았다
양이라하면 새하얀 동물 양을 말하는건가? 근데 대체 양과 강철과 숲이 무슨 관계가 있지? 의아했는데
소설을 읽다보니 이해가 됐다
소설이라하기에 이 소설은 기승전결이 절대 드라마틱하지않다
오히려 도무라가 성장해나가는 인간극장이 아닌가싶을정도다
양과 강철은 바로 피아노를 뜻한다
피아노의 겉모습을 보면 알수없지만 내부을 들어다보면 양가죽과 강철로 된 줄이있다
이책은 피아노를 치는사람이 아닌 피아노를 조율하는 조율사의 이야기다
주인공 도무라가 마치 운명과도 같이 조율사릉 만나게되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그리고 그는 피아노와 조율사를 보고 꿈이 결정됐다
그래서 조율을 배우는 전문학교에 들어가고 졸업한후 그를 피아노와 조율의 세계로 이끈 이타토리씨가 일하는 곳으로 입사하게된다
그렇다고해서 도무라가 이타도리밑에서 배울수있게된것은 아니었다
다른 선배밑에서 견습기간을 거친다
그는 자신이 조율에 탁월한 재능을 가진것도 놀랄만한 음감을 가진것도 아니라고 말한다
오히려 어찌할바몰라 아등바등 그저 헤매고 있을따름이라고 한다
기술을 연마하는건 따로 재능이 필요하다기보다는 노력과 시간을 투자하면 어느경지에 오르지만
그이상을 넘어서기위해서는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다는것이다
도무라는 자신의 부족함을 절감하며 하루하루를 보낸다
하지만 놀라웠던건 그가 자신의 부족함때문에 괴로워하긴하지만 절대 조율사를 포기한다는 선택지는 없었다는 것이다
그는 불가능하더라도 계속해서 노력하는 수밖에 없다고 생각할뿐 묵묵히 계속 나아간다
그런 무던한점이 그의 장점이기도 하다고 주변에서 말해준다
도무라는 여러 선배들을 보며 자신의 부족한점을 깨닫기도 하고
조율하면서 만났던 피아니스트를 꿈꾸는 쌍둥이언니를 보며 그녀의 피아노를 조율하고싶다고 구체적인 목표를 잡기에 이른다
선배 결혼식으로 인해 그꿈이 생각보다 빨리 이뤄지긴했지만
자신의 부족함을 또한번 깨닫는 순간이기도 했다
그렇지만 그는 끈기있게 차근차근 하나하나 쌓아올려가면 된다고 계속해서 그길을 나아가면 되는거라고 깨닫는다
그야말로 장인정신을 떠올리게한다
아마 그는 앞으로도 계속 지금처럼과 같이 경험을 쌓아나갈것이다
자신의 목표와 꿈을 향해
요즘 보기드문 하나밖에 모르는 올곧은 도무라가 자신의 양과강철의 숲을 찾아낼거라고 믿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