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보스 리포트 1 - 만화
김규식 외 지음, 팽현준 그림 / 바우나무 / 2009년 5월
평점 :
품절

미국 독주체제는 끝났다 - 다보스 리포트
지금으로부터 13년전. 대학 신입생 시절 미래학자 앨빈토플러의 그 유명한 책들 3권을 읽은 적이 있다. [미래의 충격], [제3의 물결], [권력이동]. 대학교 1학년이 감당하기엔 분명 버거운 책인데 그 책들을 한 권도 아니고 3권이나 꾸역꾸역 읽은 것은 순전히 나의 착각때문이었다. '나는 제법 지적인 동물이므로 이 정도는 읽어줘야한다' 라는 착각. 이런 착각들은 아주 가끔씩 마약처럼 나를 행복하게도 하지만 분명 불행으로 가는 지름길이기도 하다. 어렵게 읽은 책이지만 내가 깨달은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앨빈 토플러가 미래학자이지 점쟁이는 아니라는 사실이다. 이 말을 조금 더 풀어 쓰자면 앨빈토플러의 예지력으로 만든 책이 아니고 세계적인 석학, 대기업 CEO, 정치지도자 들을 만나 인터뷰 한 내용들을 취합해서 쓴 책이다. 세계적으로 영향력이 있는 인물들이기에 그들과의 대화속에는 미래가 보인다.
만화 다보스 리포트. 박봉권, 김규식, 이덕주 원작. 글 김주찬. 그림 팽현준. 매일경제 지식부 기자의 세계 경제 보고서 - 세계 경제 질서 재편, 봉대리의 성공 보고서1 이라는 부제가 붙은 이 책은 다보스 포럼이라고도 불리는 세계경제포럼을 만화로 쉽게 풀어 쓴 책이다. 1971년 클라우스 슈왑은 '세계를 개선하기 위한' 사명을 띤 비영리단체로서 [세계경제포럼]을 설립했다. 글로벌 세상이 직면한 문제는 정부, 비즈니스, 또는 비정부단체(NGO)의 힘만으로는 해결될 수 없으며 모든 이해관계자의 집단적인 노력을 통해서 가능하다는 것이다. 어떤 정치적, 당파적 이해관계나 국익을 멀리하고 지속가능한 자본주의를 꿈꾼다. [세계경제포럼]은 의사 결정 단체는 아니고 그러한 결정을 용이하게 만드는 매커니즘 역할을 담당한다.
이런 일반적인 이야기를 뒤로하고 이 책 이야기를 하자. 이 책은 만화책이다. 경제 이야기를 만화로.....이 책의 장점을 추천사에 만화가 이두호는 아주 짧게 [평생 만화만 그리고 살아 온 내게 경제는 너무 어렵고, 나하고 상관없는 일처럼 느껴진다. 아니 나뿐만 아니라 경제전문가가 아닌 대다수의 서민들의 생각이 그럴 것이다. 만화는 글과 그림이 합쳐진 매체로 어려운 정보를 쉽게 전달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라고. 경제라는 어려운 정보를 만화로 쉽게 풀어 쓴 이 책의 핵심 내용은 세계 경제의 맹주 노릇을 하던 미국의 경제 위기의 문제점과 해결책, 그리고 위기 이후의 세계 경제를 전문가들의 입을 빌어 전망하고 있다. 지난 세기 동안 맹신했던 자본주의와 신자유주의, 세계화는 어떤 식으로는 수정이 될 거고, 한 두 나라의 독주 체제가 아니라 다자주의 구도로 진행될 것이라고. 강자의 힘의 논리와 돈이 곧 정의이던 시대는 막을 내리고 도덕주의에 기초한 새로운 경제질서로 재편될 것이라고.
적당한 경제적 상식이 있으면 편하게 읽어내려 갈 수 있고, 그렇지 않더라도 읽기에 크게 무리없이 읽을 수 있는 경제에 관한 책이다. 어려운 용어는 그래프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고, 인물들의 인터뷰를 인용할 때는 그 인물의 모습을 그림으로 볼 수 있어 한결 친근한 느낌이다. 장황한 설명보다 핵심만 추려 설명한 내용들이라 짧은 시간에 많은 내용을 이해하기도 수월하다. 뜻도 모르는 [다보스포럼]이라는 말만 뉴스에서 지겹게 들어온 독자라면 그것을 이해하는 노력도 들여봄직한데, 그 때 가장 쉽게 활용할 수 있는 도구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