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핑크스의 수수께끼는 “아침에는 네 발로, 낮에는 두 발로, 저녁에는 세 발로 걷는 것은 무엇인가?”였고 오이디푸스는 “인간”이라고 답했다. 문제는 오이디푸스가 답은 알았으되 그 의미를 알지 못했다는 데에 있다. 베르낭(Jean-Pierre Vernant)에 따르면 오이디푸스의 대답은 자기-지칭적이다. 그 수수께끼의 정답은 추상적인 인간 일반이 아니라 특정한 인간, 즉 ‘오이디푸스’ 그 자신이었다. ‘네 발→두 발→세 발’로 이어지는 이 연쇄가 ‘자식(네 발)→나(두 발)→부모(세 발)’이라는 세 세대의 응축을 의미하는 것을 읽을 수 있다면 오이디푸스 자신이야말로 세 세대를 뒤섞어버린 인물, 세 세대를 자기 한 몸에 다 가져버린 인물이다. 그는 무엇보다 일단 ‘자기 자신’이지만, 어머니와 결혼함으로써 스스로 자신의 ‘아버지’가 되었으며, 어머니로부터 그 자신의 자식을 얻음으로써 자신의 ‘자식들’과 형제지간이 되어버렸다. 그는 나(두 발)이고 나의 아버지(세 발)이면서 동시에 나의 자식들(네 발)이다. 그렇다면 스핑크스의 수수께끼는 아폴론의 신탁이 담고 있는 전언의 개정판이었던 셈이다. 코린토스에서 장성한 뒤에야 뒤늦게 신탁을 알게 된 오이디푸스는 여기서 그 신탁의 개정판(“너는 네가 누구인지 아느냐?”)을 읽어내는 데에도 실패하고 있다.
이를 좀 더 밀고 나가면 우리는 ‘스핑크스의 해석학’(“너는 곧 나다”)에 도달한다. 세 세대를 한 몸에 응축한, 그래서 ‘나’이자 나의 ‘아버지’이며 나의 ‘자식’이기도 한 삼종 혼합인간 오이디푸스는 결국 인간의 얼굴, 새의 날개, 사자의 몸통을 한 몸에 가진 삼종 혼합괴물 스핑크스이기도 하다. 스핑크스가 오이디푸스의 대답을 정답으로 인정한 까닭은 오이디푸스의 대답이 스핑크스에게는 “그것은 인간(이며, 특히 나 오이디푸스이고, 나는 결국 스핑크스와 똑같은 괴물)이다”라는 의미를 모두 포괄하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오이디푸스에게는 저 괄호가 없었다. 오이디푸스의 비극은 스핑크스의 수수께끼 속에 숨은 뜻을 읽어내지 못했다는 것, 그 자신의 대답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스스로도 알지 못했다는 데에 있다. 이런 맥락에서 라캉은 “진리는 절반만 말해진 것이다”라고 말한다. 그리고 말해진 절반이 나머지 절반을 가동시킨다. 그리고 오이디푸스는 그 자신의 일련의 행동으로 나머지 절반을 완성하고 진리를 현실화할 것이었다.
———————————————
인간은 이미 괴물이다. 고로 당신의 괴물성을 혐오하는 것은 당신을 닮은 내 안의 괴물을 본 적이 있기 때문이다.
스핑크스의 수수께끼는 "아침에는 네 발로, 낮에는 두 발로, 저녁에는 세 발로 걷는 것은 무엇인가?"였고 오이디푸스는 "인간"이라고 답했다. 문제는 오이디푸스가 답은 알았으되 그 의미를 알지 못했다는 데에 있다. 베르낭(Jean-Pierre Vernant)에 따르면 오이디푸스의 대답은 자기-지칭적이다. 그 수수께끼의 정답은 추상적인 인간 일반이 아니라 특정한 인간, 즉 ‘오이디푸스’ 그 자신이었다. ‘네 발→두 발→세 발’로 이어지는 이 연쇄가 ‘자식(네 발)→나(두 발)→부모(세 발)’이라는 세 세대의 응축을 의미하는 것을 읽을 수 있다면 오이디푸스 자신이야말로 세 세대를 뒤섞어버린 인물, 세 세대를 자기 한 몸에 다 가져버린 인물이다. 그는 무엇보다 일단 ‘자기 자신’이지만, 어머니와 결혼함으로써 스스로 자신의 ‘아버지’가 되었으며, 어머니로부터 그 자신의 자식을 얻음으로써 자신의 ‘자식들’과 형제지간이 되어버렸다. 그는 나(두 발)이고 나의 아버지(세 발)이면서 동시에 나의 자식들(네 발)이다. 그렇다면 스핑크스의 수수께끼는 아폴론의 신탁이 담고 있는 전언의 개정판이었던 셈이다. 코린토스에서 장성한 뒤에야 뒤늦게 신탁을 알게 된 오이디푸스는 여기서 그 신탁의 개정판("너는 네가 누구인지 아느냐?")을 읽어내는 데에도 실패하고 있다. 이를 좀 더 밀고 나가면 우리는 ‘스핑크스의 해석학’("너는 곧 나다")에 도달한다. 세 세대를 한 몸에 응축한, 그래서 ‘나’이자 나의 ‘아버지’이며 나의 ‘자식’이기도 한 삼종 혼합인간 오이디푸스는 결국 인간의 얼굴, 새의 날개, 사자의 몸통을 한 몸에 가진 삼종 혼합괴물 스핑크스이기도 하다. 스핑크스가 오이디푸스의 대답을 정답으로 인정한 까닭은 오이디푸스의 대답이 스핑크스에게는 "그것은 인간(이며, 특히 나 오이디푸스이고, 나는 결국 스핑크스와 똑같은 괴물)이다"라는 의미를 모두 포괄하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오이디푸스에게는 저 괄호가 없었다. 오이디푸스의 비극은 스핑크스의 수수께끼 속에 숨은 뜻을 읽어내지 못했다는 것, 그 자신의 대답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스스로도 알지 못했다는 데에 있다. 이런 맥락에서 라캉은 "진리는 절반만 말해진 것이다"라고 말한다. 그리고 말해진 절반이 나머지 절반을 가동시킨다. 그리고 오이디푸스는 그 자신의 일련의 행동으로 나머지 절반을 완성하고 진리를 현실화할 것이었다. - P6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