짐승은 순우리말이고 동물은 한자어라는 차이 외에 이 두 단어가 풍기는 느낌이 또 다릅니다."저는 동물을 좋아해요"와 "저는 짐승을 좋아해요"의 차이가 뭘까요.전자에 비해 후자는 왠지 나이먹은 사람들의 용법같다는 사람들도 있습니다.실제로 시골사람들은 "짐승을 이뻐라 한다"는 말을 할 때가 있습니다.그래서 요즘은 잘 안 쓰는 표현을 예로 들어서 짐승이란 단어가 들어가는 단어를 알리고자 합니다.
저는 40년 전의 아주 오래된 번역서들을 읽는 묘한 취미가 있습니다.60년대나 70년대 초만 해도 지금보다 우리말의 순수함,토속성이 비교적 살아 있던 시대였고 이 당시 번역어들을 보면 우리말을 살리려는 노력이 지금보다 더 많은 느낌을 받습니다.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단어들입니다.포유류라는 한자어를 우리말로 젖빨이 짐승이라 했습니다.정확한 표현이지요.실제로 포유류가 무슨 뜻인지 한자를 하나 하나 지적하면서 설명할 수 있는 이는 드뭅니다.그런데 젖빨이 동물이라 하면 아주 정확히 뜻을 감지할 수 있지요.
그러면 조류는? 날짐승. 네발달린 동물은? 길짐승입니다.우리가 한자어로 야생동물이라고 뭉뚱그립니다만 이것도 사는 장소에 따라 산짐승,들짐승으로 구별합니다.단순히 짐승=동물이라고 아는 것보다 훨씬 더 자세히 알 수 있지요.그 중에서도 최고의 절정은 양서류의 순우리말입니다.양서류의 원래 뜻은 물과 육지 양쪽에서 살 수 있다는 뜻에서 양서류인데 이 단어의 순우리말이 물뭍짐승입니다.뭍이 육지의 순우리말이지요.이렇게 되니 동물들의 사는 모습까지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저는 언어 민족주의에 반대하지만 이렇게 글의 의미 자체를 명확히 알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예스런 표현이 실용성에서 도움이 될 수도 있음을 소개하는 것입니다.
어제 시골에 갔다 왔습니다.뒷산에 가니 예전에 비해 까투리(암꿩)가 많이 보입니다.이 친구들은 사람이 가까이 가면 풀섶에서 소리를 내며 하늘로 날아 오릅니다.아쉽게도 장끼(수꿩)를 보지는 못했습니다.우리나라에서 가장 아름다운 깃털을 가진 새 중의 하나인데 그 좋은 구경을 못했군요.한가지 재밌는 것은 꿩의 새끼를 꺼병이라고 한다는 것입니다.얼마전 고인이 된 길창덕 씨의 만화주인공 꺼벙이가 꺼병이와 관계가 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마을에 닿자 마자 입구의 동물농장에서 전에는 못들어본 소리가 납니다.아하...칠면조로군.그리고 바로 확인했습니다.저 집은 올해는 칠면조를 기르는 모양이로군...예전엔 거위 소리만 요란했지요.거위들은 낯선 사람을 보면 소리를 크게 질러서 주인이 밖을 내다보게 되지요.이제 그 농장은 칠면조 소리 때문에 거위 소리가 묻히게 생겼습니다.
저는 동물이나 새의 발자국만 보면 그 주인공을 알아맞히는 기술을 익히고 싶습니다.산속에서 식용식물과 독초를 구분하는 능력도 갖추고 싶구요.지금도 제 능력은 보통 도시사람보다는 훨씬 낫습니다만 이런 솜씨로는 아직까지 야생에 파묻혀 살았다는 그리즐리 아담스엔 훨씬 못미치지요.나이가 들면 산 모양만 보고 어떤 어떤 동물이 살고 어떤 식물이 있는지 단번에 맞힐 수 있는 달인이 되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