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님은 먼 곳에>에서 수애가 노래를 잘하더군요.특히 군인들과 어울려 부르던 '간다고  하지마오'는 신나게 잘하더라구요.주제가인 '님은 먼 곳에'는 말할 것도 없구요.이준익 감독이 김추자를 좋아하나...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임권택이 감독하고 조승우와 김민선이 나오는 <하류생활>에는 아예 배경음악으로 김추자가 부른 '님은 먼곳에'가 깔리던데,음악을 신중현이 담당했더군요.임권택 감독이나 신중현 씨나 이제 70줄에 접어들었습니다. 

 2005년경 김c가 라디오 음악프로를 진행할 때 한국가요사에 대해 초대손님 모시고 이야기를 하는 꼭지가 있었는데 그때 일본남성이 나와서 신중현의 음악세계에 대해 이야기를 재밌게 나누더군요.역사학적 상상력이 동하여 열심히 들었던 기억이 납니다.그 일본인은 한국어도 잘하고 신중현에 대해선 박사급 지식을 보유하고 있었습니다.김c도 음악지식이 있는 진행자라서 얻는 게 많았습니다.제가 신중현에 대해 얻은 지식은 그때 들은 것이 대부분입니다.  

  신중현이 발굴한 가수들은 거의 가수활동이 짧았어요.김추자도 그렇고 김정미도 그렇고...김추자 이후 발굴한 신인이 김정미인데 수애가 영화에서 부른 '간다고 하지마오'를 불렀습니다.김정미는 어딘지 창법이 김추자 같아요.음....신중현이 이런 가수를 좋아하나보다...하고 생각하게 되었지요.시원한 목소리에 춤도 잘 추지요.펄 시스터즈도 3년 정도만 가수활동했지요(1969~1972).쌍동이 자매인데 배인순은 동아그룹 최원석과 결혼해서 일찍 연예계를 떴고 배인숙은  몇년 잠잠하다가 77년 무렵 외국곡인 '누구라도 그러하듯이'로 재기했습니다.이 곡은 2003년 경 이수영이 다시 부르더군요. 이수영도 노래를 잘하는 가수지요.

  김추자의 대표곡이 또 하나 있는데 그게 '무인도'.그런데 이 곡은 이봉조가 곡을 만들었습니다.신중엽 사단의 가수들 중에선 펄시스터즈도 이봉조 작곡 노래가 있는데 신중엽과 이봉조가 어느 정도 교류가 있었던 것 같습니다.그런데 1973년 칠레 국제가요제에 나갈 때 '무인도'를 부른 가수는 정훈희였습니다.좀 뜻밖이었지요.왜 김추자가 안 부르고?  현미가 김추자를 미워해서 이봉조는 정훈희를 데리고 갈 수 밖에 없었다는 것이 통설로 전해내려오고 있지요.현미는 처자식 있는 이봉조를 데리고 산다고 욕을 많이 먹었습니다. 

 '님은 먼곳에'는 조관우가 부른 것으로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조관우는 정훈희의 '꽃밭에서'(이봉조 곡)도 불렀지요.제 친구들은 '님아'(신중현 곡)를 신효범이 부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오리지널은 펄시스터즈 것입니다.펄시스터즈의 목소리는 정말 매혹적이지요.제가 테이프를 통해 처음으로 들었을 때 밤잠을 설쳤을 정도입니다.우리 친구놈들은 이런 가수를 모르겠지...어린 것들...하고 우월감을 느끼면서 말이지요. 

  신중현 작사작곡 김추자 노래 중 또 좋은 것이 '나뭇잎이 떨어져서'입니다.이 노래는 소녀시대의 수영이 부른다면 어떨까 생각해 봅니다.이 어린 누나가 노래를 상당히 잘하더군요.아...이정현이 영화 <꽃잎>에서 부른 노래 '꽃잎'도 신중현이 만들고 김추자가 부른 곡입니다.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후애(厚愛) 2009-07-19 14: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가 아는 가수는 현미밖에 없네요.
저에게는 모두 낯선 이름들뿐이에요..
그래도 전 옛 노래가 좋아요.ㅎㅎ
수애가 부르는 노래를 한번 듣고싶네요.^^

노이에자이트 2009-07-19 19:51   좋아요 0 | URL
오...이정현,이수영,소녀시대는 요즘 유명한 가수인데...한 번 이 누나들 노래를 들어보세요.
현미만 안다고 하면 남들이 나이 많이 드신 분으로 오해할 수도 있을 거예요.

비로그인 2009-07-19 18: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님은 먼 곳에, 개인적으로 영화는 별로였는데 수애는 참 괜찮았죠.
신중현에 대해 잘 아는 그 일본인은 아마 한국인과 결혼하여 국내에 체류하는 사람으로 알고있어요. 소수이긴 하지만 가끔 한국인들이 관심을 두지 않는 것에 관심과 애정을 갖는 일본인들이 있는 것 보면 신기하기도해요. 막걸리 기행을 책으로 펴 낸 일본인도 그렇고요.

노이에자이트 2009-07-19 20:02   좋아요 0 | URL
수애 누나의 매력에,정진영의 연기가 좋았지요.
음...그런 사연이 있었군요.오타쿠 정신이 충만한 사나이였어요.
구로다 가쓰히로 특파원은 한국음식 기행문을 폈는데 외국인은 먹기 힘든 홍어회나 개고기까지 먹었더라구요.

[해이] 2009-07-19 22: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님은 먼 곳에 노래 좋았어요. 전 어제 OCN에서 하길래 봤는데, 노이에자이트님도 그걸 보신거?ㅋ

노이에자이트 2009-07-23 21:51   좋아요 0 | URL
예.앞으로 수십번 방영할 것 같아요.

카스피 2009-07-19 23: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김추자는 70년대 분위기와 어울리지 않은 가수였죠? 너무 시대를 앞서간듯... 그나저나 김추자님의 손찌르기가 간첩의 암호라는 루머가 있어 아마 고생하셨다는 얘기가 있더군요.믿거나 말거나요 ^^;;;
뭐 몇번 나온 이야기지만 현미는 이봉조가 홀아비인줄 알고 같이 살았다고 하더군요.본처와 아들이 있다는 소리를 듣고 태어난 아들과 함께 바로 헤어졌다고 하더군요.

노이에자이트 2009-07-23 21:52   좋아요 0 | URL
김추자도 지금 보면 좀 구식이던데...
현미는 몇달 전 자신이 이봉조와 결혼한 데 대해 해명성 발언을 했지만 욕을 바가지로 먹었다네요.

흔적을 찾아서 2009-07-22 00: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답변이 늦어 죄송합니다.

질문하신 바에 대해 제가 아는 선에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우선 안병무 선생의 『해방자 예수』와 『갈릴래아의 예수』는 전혀 다른 책입니다.

전자는 제가 알기로 선생이 1969년부터 쓴 글을 모아서 1975년에 출간하신 논문모음집이라면, 후자는 미국의 모 대학에 선생이 방문교수로 가셔서 강연한 내용들을 모은 책입니다. 1990년에 한국신학연구소에서 초판이 나왔고, 나중에 <안병무 전집3> 민중신학3 『갈릴래아의 예수』라는 제목으로 한길사판 전집의 한 권으로 1993에 개정판이 출간되었습니다. 후자의 책은 『민중신학 이야기』와 더불어 선생의 신학사상의 핵심을 보여주는 중요한 저작입니다. 물론 전자의 책은 당시 유행하던 해방신학적 조류와 선생이 공명하는 가운데 내놓은 책으로서, 70년대 진보전인 기독청년들에게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와 달리 후자의 책이 선생의 전공인 마르코복음에 입각한 민중신학적 역사의 예수론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학문적 가치가 있는 책으로 압니다.

노이에자이트 2009-07-23 21:54   좋아요 0 | URL
해방자 예수는 제가 갖고 있고 지금도 가끔 보는 애독서입니다.갈릴래아의 예수가 매우 중요한 책이군요.민중신학계열에선 아무래도 마가 복음을 중시하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