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문열 씨의 주장 중 검토해야 할 것

1.정조가 노론 계열의 사주로 독살되었다는 설은 다산을 비홋한 몇 몇 남인 계열 학자들에 의해 전문형식으로 기록되어 있고 옛부터 구전되던 말이다 ----다산의 무슨  책에 그런 내용이 있는가.이인화 씨도 자기 고향에 이런 전설이 어른들 사이에 구전되어 온다는 일화를 소개하고 있다.

2.왕권을 제약하는 입장이며 개화파의 선구가 되는 노론,왕권의 신장 및 절대주의 왕정 아래서의 부국강병을 이상으로 하며 수구파의 핵심을 이루는 남인 --- 이런 계보 파악은 이상하다.위정척사파는 노론이 아닌가? 이항로,최익현은 분명 노론이다.이들이 어찌 개화파라고 할 수 있나? 어윤중이나 박정양을 노론으로 분류하는 거야 그들이 개화파니까 문제가 없다고 쳐도.

그 외 머리 속에 떠오른 대로 써 본 것.

정조는 5경과 같은 고문에 나오는 주나라를 모범으로 삼아 강력한 왕권을 행사하려 했고 이는 4서를 정통으로 신봉하는 노론 사대부들과 이념상 충돌할 수 밖에 없었다.

이인화 씨는 정조의 왕권강화책을 박정희 통치와 동렬에 놓고 있다.절대권력은 민주주의로 가기 위한 불가피한 통과의례라는 주장은 어떤 평가를 내려야 하는가?

경종은 이복동생(훗날이 영조)이 준 게장을 먹고 죽었다.경종의 어머니는 희빈 장 씨.그녀의 지지자들은 남인.희빈 장 씨가 주술로 저주를 걸어 인현왕후를 해꼬지했다는 소문을 퍼뜨린 이가 최무수리인 숙빈 최씨(영조의 생모).최 씨가 경종에게 독약 든 게장을 보내게 했다는 소문은?

정약용이 천주교도란 이유를 들어 처음으로탄핵한 이들은 노론이 아니라 같은 남인 계열이었다.물론 이땐 금방 복귀하긴 했다.남인들이 천주교도가 많다는 선입견이 많으나 남인들이라고 해서 모두 천주교도에게 관용을 베풀진 않았단 사실은 이 시대 공부하는 초보자가 명심해야 할 것.

순조  시대 때 대박해를 맞은 남인은 대원군 때 다시 전성기를 맞는다.대원군 주변에 모인 남인들의 성향은 어떠했는가.

 


댓글(7)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로쟈 2008-08-12 23: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나중에 답도 달아주세요.^^ '절대권력은 민주주의로 가기 위한 불가피한 통과의례라는 주장'은 장정일의 <공부>에서 접했는데, '원조'가 따로 있나요? 러시아사와 관련해서도 흥미를 끄는 주제입니다...

노이에자이트 2008-08-12 23: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인화 씨도 했고 월간조선에 기고하는 이들도 그런 글을 많이 씁니다.일본의 '친한파'들도 자주 거론하구요.하지만 절대권력 뒤에 민주주의가 오듯 민주주의 뒤에 다시 절대권력으로 역전되기도 하죠.그러면 이번에는 그것도 불가피하니까 민주주의가 정당성이 있다고 해야 하나요? 소모성 악순환인데 상당히 까다로운 문제입니다.시간상의 선후관계일 뿐인데 거기서 정당성을 끌어내려고 하는 것은 무리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현대사에선 이승만 박정희 정당화론에 이용되기도 하구요.특히 이런 것은 근대화 문제가 겹치는데 아예 탈근대론으로 접근하면서 근대니 전근대니 하는 논쟁 자체를 해체하는 이론을 도입해보면 이 문제가 어떤 식으로 해결될까 하는 문제도 생각해 봅니다.

로쟈 2008-08-13 01: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장정일의 인용은 보다 구체적인데, 정조의 개혁이 실패했기 때문에 박정희가 요구되었다라는 주장입니다. 근대화에는 절대권력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는 논리하에... 탈근대론으로 접근하신다는 건 설명이 좀 필요한데요...

노이에자이트 2008-08-13 23: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원래 근대 문제는 자본주의 이행논쟁으로 접근하는 것이 정통인데 최근엔 이행논쟁이 기반하고 있는 전제 자체인 정상적인 자본주의의 길을 걸은 영국경제사라는 명제 자체가 실증적으로 문제가 있다는 식이죠.제가 최근에 관심을 갖고 있는 글이 <한국의 식민지 근대성>삼인 에 나온 카터 에커트의 글과 부르스 커밍스<한국전쟁의 기원>중 제1장 2장의 일제시대 분석입니다.경제사 쪽을 한동안 소홀히 해서 공부를 다시 하려구요.김기봉,이영석 등 탈민족,탈근대화론자들의 저서도 일단 한번 봤습니다.노골적으로 정조의 실패를 고종과 박정희가 이어 받아 근대화에 나섰다는 식의 이태진,한영우 류의 보수적 민족주의(친미 사대주의를 바탕에 깔고 있는)는 비위에도 안 맞고 그들의 학문적인 능력에서도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한국의 식민지 근대성에 나온 논문과 비교해보면 수준 차이를 분명히 느낄 수 있습니다.

노이에자이트 2008-08-14 14: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장정일의 공부>에서 그가 인용한 엘리자베스 시대 문예부흥에 관한 글이 오해를 불러 일으키게 생겼어요.사실은 그는 이인화 류의 주장을 비판하기 위해 글을 썼는데 막판에 왜 그런 글을 인용했는지 모르겠어요.마치 문화가 발전하려면 사상 탄압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 같아요.박정희 숭배자들에게 알린다고 해놓고 왜 그런 글을 인용했는지 모를 일이죠.그리고 그 스트래치 글 앞에 이덕일을 인용했는데 이덕일은 정조를 하늘 같이 섬기는 저술가예요.차라리 정조의 왕권강화를 비판하려면 강명관이나 이한우를 인용했으면 좋았을텐데요.마치 이덕일이 정조를 비판하는 저술가인 것 같은 느낌을 줍니다.

파란여우 2008-08-16 22:56   좋아요 0 | URL
[장정일의 공부]에서 저도 그 부분에 동의하기 어렵다고 여겼는데
문예부흥 이야기에 절대왕조의 지원 이야기가 마치 정당화되는 듯한
느낌이 강하게 왔었습니다. 이덕일이 정조의 왕조체제 유지 방안으로
문체반정을 시도한 것을 당연시하게 여긴 비슷한 맥락 아닌가 싶기도 하고요.
이덕일은 정조를 비롯해서 광해군도 상당부분 연민의 눈으로 보는 입장으로
저는 그리 보여집니다. 긍정적인 면을 부각하다보니 부정적인 그림자가 그만 가리워지는데 이덕일씨는 그런 이야기를 전개하는데 탁월한 작가죠.
정약용 형제를 거의 무결점의 인물로 그린 책도 읽었던 기억이 납니다.
얘기가 이덕일로 나아갔는데 황종희 관련 좋은 책 좀 소개시켜주세요.
이뭐 서재질은 자주 하지 않으면서 이리 졸라봅니다.^^

노이에자이트 2008-08-16 23: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 대목이 좀 이상하긴 합니다.장정일의 성향으로 봐서 독재를 정당화할 리가 없거든요.아마 본인도 책이 나오고 나서 이거...잘 못한것 같다고 여겼을 거예요.
이덕일 씨가 정조살리기에 매달리는 자세는 한영우나 이태진의 고종 살리기와 비슷하죠.
윤사순 씨는 박지원의 문체론이 이탁오와 비슷하다고 여기고 있습니다.정약용의 문체론과는 정 반대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