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이저를 포함한 미국의 초기 자연주의 문학도 문학의 현실참여라는면에서는 폭로 문학과 그 맥락을 같이한다. 모처럼 윌리엄 딘 하웰스와헨리 제임스에 의해 개화의 시초를 보게 된 미국의 사실주의 문학이 그결실 (그 결실은 1920년대에 가서야 겨우 셔우드 앤더슨과 싱클레어 루이스에 의해 얻어진다)을 보기도 전에 세기가 바뀌면서 자연주의 문학에그 자리를 뺏기게 된다. 그것은 계기의 급박성도 있겠지만 드라이저 자신은 미국의 삶의 표현에는 자연주의 문학이야말로 가장 알맞은 문학이라고생각했던 것이다.
이 책을 읽는 분들은 먼저 미국의 사실주의와 자연주의의 계기 문제를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해야 한다. 드라이저의 최대 걸작 미국의 비극〉은이러한 문학관의 산물이다. 당시 미국의 삶은 물질 추구와 명예 추구, 이에 따른 남녀 애정 추구가 최대의 과제였다. 그런데 이 소설의 주인공 크라이드 그리피스에게는 그러한 것이 하나도 없다. 돈의 추구만이 그의 인생의 전부이고, 그것의 추구 과정에서 벌어지는 희생은 당연하며 그것은주인공에게는 범죄가 될 수 없다. 양심의 상실, 돈만이 지배하는 1920년대의 미국적 현실이야말로 당시의 미국 삶이었으며, 곧 미국의 비극 이었다. 이러한 현실을 모르는 크라이드의 현실망각증이 곧 당시 미국의 비극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