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chemist: A Fable about Following Your Dream (Mass Market Paperback, 미국판, International)
파울로 코엘료 지음 / Harper Torch / 200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의 신념을 우화로 풀어낸 글. 가볍게 읽기 좋다. 논리나 지혜를 찾으려 읽는 건 불가능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laughterhouse-Five: Or the Children's Crusade, a Duty-Dance with Death (Mass Market Paperback) - 『제5도살장』원서
커트 보네거트 지음 / Dell / 199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쟁포로였던 저자 Kurt Vonnegut은 전쟁이 얼마나 참혹했는지 말하지 않으면서도 전쟁이 얼마나 참혹할 수 있는지 생생히 보여준다.
빌리 필그림의 두개골이 짜개지기 한참 전부터 그 내용물은 이미 뒤죽박죽 잡탕이 돼있었다. 여기저기 시간과 현실들을 방황하면서.
너무 많은 사람들이 죽었다. 뭐 그렇지 So it goes. 그 많은 죽음이 당연하다고 여기는 사람은 거의 없지만, 운명이 이미 그렇게 짜인 것을, 빌리 필그림은 도움이 될 수 없었다. 짹짹짹? Poo tee wee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Benjamin Franklin: An American Life (Paperback)
Simon & Schuster / 200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This Benjamin Franklin's life epitomizes the better side of america.

His life is electrifying; starting from a humble background, then through "industry and frugality" with principles and contradictions, he made it to "leather apron" middle class. And for a spin off, he also founded a nation, raising funds with his friends, just as he had done to set up schools, libraries and fire stations. His eccentric life style stems from his belief that serving God is helping His children. He thrives by weaving together both private and public benefit. Proudly pragmatic or too practical, his ambivalence can be confusing sometimes. However, the balance was usually struck on time, and his life was kept from extremities. Final roles he played, at Constitutional Convention, created value by helping others compromise with each other. His life makes an inspiring story; a self taught employee without any capital becoming Dr.Franklin with the joy of comfortable and famous life. A success story of a middle class.

Through his life, Ben Franklin advocated such values that resonate even louder today. Serving fellow citizens with DIY approach is one. He didn't urge any authorities to pave local streets. He simply started with his friends to form a group and went to do it. It wasn't about fervent love of fellow creatures but was more about shared value "we" can create. He also promoted the spirit of industry, frugality, and more importantly, self complacency. He didn't really suffer from guilty feelings. He can be, more often than sometimes, contradictory. But, you know, being a humble human, what could he do? He just laughed at himself with self depreciating jokes, and that's how he got his humor going. A true self confidence. Politically, he made it clear democracy is the way to go. And as we can see how he maneuvered in France, he honored the honor, but always kept practical. Saying what's supposed and doing what's better is how he unfettered America from its shackles of religion and aristocracy. 

He not only demonstrated an American dream, but he also set the core values of an American lif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Who Moved My Cheese (Paperback, 영국판) - An Amazing Way to Deal with Change in Your Work and in Your Life
스펜서 존슨 지음 / Vermilion, / 199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get up and move on. sitting idle helps none.
things change. expect it so.
go get it and enjoy.

the story itself is ok. the lesson is good. the exaggeration is obnoxiou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8세기의 맛 - 취향의 탄생과 혀끝의 인문학
안대회.이용철.정병설 외 지음 / 문학동네 / 201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맛으로 엮은 18세기 지식 한 꼬치. 역사를 한줄로 쭉 꿰어주니 보배寶貝롭다. 사건은 맞물려서 흐른다. 인물 없는 사건이 없다. 먹고 살지 않는 인물은 없다. 그들이 먹고 사는 이야기가 곧 그들의 삶이다. 18세기 사람들은 아주 먼 나라 사람 같으면서도 큰 틀에서는 우리와 비슷하게 산다. 우리와 조금 다른 그들이 어떻게 뭘 먹고 살았는지를 살펴보면 그들이 왜 그렇게 살았는지 힌트를 얻을 수 있다. 플랭클린이 프랑스에서 로비 하면서 먹고 마셨을 음식들을 생각해보고, 연암 박지원이 담가 마셨을 돼지술을 생각해보면 18세기의 맥박이 두근 두근 하면서 뛰는 것을 느낀다. 참 맛있는 책이다.

18세기를 가로로 자르면
서쪽에서는 버터와 감자, 커피가 식탁에 자리를 잡았다. 셋 다 죄악이라는 악명을 얻었지만 지금 보면 역시 죄악이 달콤한가보다. 감자는 북부부터 재빨리 뿌리를 내렸고 버터는 면죄부를 팔다가 종교개혁 당했다. 눈치 빠른 커피는 세례를 받고 도주했다. 독일 김치 사워크라우트가 대항해시대를 열었고, 중국에서 홍차를 신대륙에서 담배와 설탕을 가져왔다. 이탈리아 지역에서 드디어 파스타가 흥행에 성공했고 진gin은 영국에서 한 시대를 풍미했다. 각지에서 미식가 모임이 만들어지고 커피하우스와 펍에 신세대가 모여들면서 이성의 계몽주의와 자유의 쾌락주의가 힘껏 기지개를 피었다. 중동에서 터져나온 커피가 유럽을 계몽할 줄이야.

동쪽에서는 황제가 남방에 외식을 나섰고 조선 땅에는 복어잡이와 돼지술 담그기로 분주했다. 황제가 먹을 줄 아는 사람이다 보니 만한滿漢이 함께 했고 북과 남이 뭉쳤다. 소금이 팔도를 이어주는 가운데 표류선 한 척이 남긴 황차가 드디어 차를 소개했지만 선비들은 국화차에 꿀을 타 마시고 있었다. 입이 짧은 영조는 고추장으로 버텼는데 쓰시마에서는 조선에서 배워왔다면서 소고기 육포를 팔았다. 당시 일본은 소설 책이 유통됐다는 것도 재밌는데 소설 책에 광고까지 싣고 있었다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