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암집 - 상 - 개정판
박지원 지음, 신호열.김명호 옮김 / 돌베개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연암 박지원의 문집 상권. 이전에는 연암의 소품체만 읽어보았고 국사를 배울 적에도 파격을 무릅쓰는 진보적인 사람으로만 들었었다. 그런데 막상 문집을 들여다 보니 꼭 그렇지만도 않았다. 특히 노년에 지방관이 돼 쓴 글들은, 물론 지위 때문에라도 더 그러해야 했지만, 성리학에 콕 박힌 모습도 보인다. 그렇다고 실망을 한다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문집을 들여다보니 드디어 입체적인 그림을 보게 됐다. 문집에 포함된 글들이 구구절절 여러 생각을 불러일으키기도 하고 무릎을 쓰다듬게 하니 두루 읽어볼만 하다.

연암은 빼어난 집안에서 태어나 어릴적부터 공부에 매진 했으나, 뜻대로 입신양명하지 못하고 괴거를 포기한 뒤 두루 여행을 다니고 파격적인 문체로 뛰어난 생각을 썼다. 이미 젊었을 때부터 그의 글을 사모하는 이들이 있었고, 청에 다녀와 쓴 열하일기와 같은 책도 적잖이 읽혔다. 그러나 생활은 곤궁함을 면치 못했다. 특히 병환과 상이 누차 덥쳐 슬픔 가운데 세월을 보내기도 했다. 그가 누이와 형수를 위해 지은 묘지명은 읽다가 눈물이 맺힌다.

주석은 아주 성실히 달려있으나 해설은 따로 붙어있지 않다. 책 뒤에는 원문도 실려있다. 김명호 교수님이 신호열 교수님의 뒤를 이어 국역을 완료했다고 한다. 김명호 교수님은 연암의 손자이자 제너럴 셔먼호 사건 때 평안도 관찰사로 있던 박규수를 연구하셨다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