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밖의 사람 - 어느 소설가의 택배일지
정혁용 지음 / 마이디어북스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은 문학의 향기가 폴폴인데

노동의 현장감이 너무나 리얼한 책이다.

'문 앞에 없는데요'

이런 문자..몇 번 보내봤는데..

앞으로는 주소 포함해서 보내기로 한다.

기사님들이 고객 전화번호를 다 외우는 것도 아니라서

본의 아니게 스무고개 문팅(문자채팅)이 되고 만다.

힘들지 않은 직업이 어디있겠냐마는 택배 기사님들의

고생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육체노동도 어마무시한데

정신적인 스트레스도 만만치 않았다. 하물며 콜센터는

고객과 기사들의 욕받이라 더 고생이 심하다고 한다.

이런 환경 속에서 어떻게 소설을 낼 수 있었을까.

답을 나오기 기대하며 쭉 읽어내려갔다.등단을 하고도

수년 후에야 첫 책이 나왔다. 바로 <침입자들>이다.

그 유명한 휴대폰으로 써 내려간 소설이라고 한다.

택배업 경험을 토대로, 생생한 묘사와 개연성 있는 전개로

현대 사회의 단면을 건조하게 그린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작가님의 에세이를 접하니 해당 작품들을 더 읽고 싶다는

욕심이 난다. 침입자 다음 파괴자 순서대로 읽기를 추천받았다.

매일 체력의 한계치를 넘나들며 나란 사람을 알아간다는 그,

무슨 일이든 인간은 견딜 수 있다는 것을 알게 해준

택배업을 여전히 하고 있다.

운명론을 운운할 때마다 #그_입_닥치시오 를 시전하는

그가 강단져 보였다. 고만고만한 인생을 고만고만하게

살아온 사람이라고 하지만 글로 만난 정혁용이라는 사람은

고만고만한 사람이 아니었다.

@주혜님이 사심 가득한 리뷰를 쓴 이유를 나는 알겠더라.

강단지고 유머러스한 사람을 좋아하는 우리가 반할 만한 작가였다.

초반에 아버지와 장모님의 장례가 담긴 글에 함께 인용된

마쓰모토 세이초 단편 <뼈단지 풍경>도 함께 찾아 읽고 싶다.

이 꼭지에서 참 많이 울었다. 


요즘 에세이를 제법 읽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이렇게 사람이 잘 보이는 글이 있을까 싶다. 아포리즘으로

채운 글이 아니라서 더 좋았다. 추천에 손도장 꾹!

*택배는 내게 구속이었다. 독방에 갇힌 죄수가

된 기분이었다. 새벽에 나가 매일 밤 두세 시에

마치니 사람을 만날 시간도 없고 일요일

하루도 잔다고 바빴다.

#한_방울의_법칙

흙탕물을 희석하는 데 정수된 한 방울은

의미가 없다. 반대로 맑은 물을 흐리는 데는

먹물 한 방울이면 된다. 사람의 마음이 그렇다.

친절을 쉽게 잊어버리지만 불쾌한 일은 

한 방울만으로도 하루의 기분을 망치는 데

충분하다.

#나의_기본값은_불안이다

인간이란 불안이 계속되면 익숙해지고,

결국 그것이 삶의 기본값이 된다.줄곧 그렇게

살아왔다고 생각한다. 행복이 와도 마치

남의 옷을 입고 있는 것처럼 도무지 내 것이라는

생각이 들지 않는 것이다. 금방이라도

잃어버릴 것 같아서 불편하고 불안할 뿐이다.

*공(空)하다는 것이 없다는 뜻이 아니라

매일 게 없다는 뜻임을 그제야 어렴풋이

느끼기도 했다. 매일 게 없으면 매 순간을

놓치거나 버리지 않고 온전히 삶을 삶으로

살아갈 수 있을 것도 같았다.

*나는 노력이란 말을 싫어한다.

삶의 멱살을 부여잡고 돈을 내놓으라고

억지를 부리는 것 같아서. 지금도 마찬가지다.

대신 대가를 치러야겠지. 실패, 낙오, 상실,

상처 좌절 고통 같은 것들이 말이다.


*인생은 선택할 수 없다.

인간은 매일 외순간 주어진 삶을 살아낼 수 있을

뿐이다.오직 해석이 있을 뿐이다.

나태로 삶을 사느냐, 열정으로 사느냐.

다만 삶의 해석하는 방식이 달라질 것이다.

해석의 뒤에 자기만의 삶의 의미가 따라올 것이다.


주혜님 서평 이벤트에 선정되어

지원받은 도서입니다.

@juhye_note️

@mydear___b 감사해요.

#에세이 #침입자 #파괴자

#에세이추천 #북스타그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