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가 묻고 생명과학이 답하다 - 호모사피엔스에서 트랜스휴먼까지, 인간이란 무엇인가를 찾는 열 가지 키워드 묻고 답하다 5
전주홍 지음 / 지상의책(갈매나무)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호모사피엔스에서 트랜스휴먼까지, 인간이란 무엇인가를 찾는 열 가지 키워드

#역사가묻고생명과학이답하다

#전주홍 #지상의책 #갈매나무

‘출산, 유전, 질병, 장기, 감염, 통증, 소화, 노화, 실험’ 등 열 가지 키워드를 통해 인류의 생로병사가 단지 과학적 현상을 넘어 사회문화적 환경과 영향을 주고받으며 어떻게 지금까지 존재해왔는지 살펴본다.

1. 아기를 디자인할 수도 있을까? : 출산

2. 우월한 유전자란 존재할까? : 유전

3. 영혼은 어디에, 과연 있을까? : 마음

4. 맞춤 치료로 무엇까지 가능할까? : 질병

5. 몸을 기계로 갈아 끼우면 어디까지 나일까? : 장기

6. 백신으로 인류를 구할 수 있을까? : 감염

7. 고통 없는 삶이 가능할까? : 통증

8. 입과 몸이 좋아하는 맛은 왜 다를까? : 소화

9. 노화를 막거나 되돌릴 수 있을까? : 노화

10. 생명의 비밀을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 : 실험

2001년 국립 초상화 미술관에서는 영국의 저명한 유전학자 '설스턴'의 초상화를 제작하기로 결정하고 화가인 마크 퀸에게 작품을 의뢰했다. 이에 화가는 독특한 방식으로 그림을 그리는데 설스턴의 정액에서 추출한 DNA를 조각내어 대장균 안에 집어넣은 다음 스테인리스 액자로 표구한다. 얼굴 모습이 아닌 추상적 정체성을 담아낸 최초의 ‘유전체 초상화’가 탄생한다.

고대 문명사회에서 심장이 아닌 간이 영혼과 마음을 상징하는 장기이자 욕망과 생명이 자리 잡고 있는 장기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오호~ 간에서 마음이???

빅데이터 -> 정밀의학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이 발전하면서 질병을 이해하는 방식이 크게 달라지고 있다. 개인의 유전 정보, 생활습관 정보, 임상 정보 등을 결합하여 질병을 정밀하게 진단 및 예측하고 그에 따라 최적의 치료 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정밀의학’이 등장한 것이다.

19세기 중반까지 외과 수술에 관한 서적이나 논문에서 통증을 줄이는 문제에 대한 언급은 거의 찾을 수 없습니다.

즉 마취없이 외과 수술이 진행되었고 수술 중 사망한 환자가 많다보니 최대한 빨리 수술을 끝내야 했다. 당시 성공한 외고 닥터라 함은 빠른 손놀림이 필수였다고. (마취없이 수술.. 상상하기 싫음)

젊은 피를 수혈 받으면 노화가 멈춘다?

늙은 쥐에게 젊은 쥐의 혈액을 공급했더니 늙은 쥐가 다시 젊어지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고 한다. 예전부터 혈액이 생명력을 담고 있다는 생각이 완전 틀리지 않음을 보여준 실험이었다.

(줄기세포 주사와는 또 다른 거겠지?..)

이 책은 최첨단 생명공학 기술이 인간의 정의를 뒤흔드는 지금,

생로병사의 역사를 바꾼 생명과학의

결정적 질문을 되짚어줬다.

오래전 질병이 징벌 또는 악마에 씐 것으로 간주되었던 것도 현재 시선으로는 이해가 되지 않을 터. 고전 소설 속에 화자들은 치료목적으로 툭하면 피를 뽑아대고 또는 신경질병 치료로 전기충격 요법를 받으며 다소 웃픈 장면이 등장한다. 지금 세상에 태어나길 참말 다행이다.

생명과학의 역사를 이모저모를 담은 책.

흥미로웠지만 조금 더 디테일하게 알고 싶은 아쉬움이 남는다.



출판사 지원도서입니다.

#과학 #생명과학 #생로불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