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아르떼 합스부르크 600년 매혹의 걸작들 100배 즐기기 - 한·오스트리아 수교 130주년 기념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한경arte 특별취재팀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국립중앙박물관은 한국과 오스트리아 수교 130주년을 기념하여 오스트리아 빈미술사박물관 대표 소장품전을 개최하게 되었다. 전시회 이름은 합스부르크 600년 매혹의 걸작들, 16~20세기까지 합스부르크 왕가가 수집한 르네상스, 바로크미술 시기 대표 소장품을 통해 오스트리아의 역사와 문화를 조명하는 회화, 공예, 갑옷, 태피스트리 등 96점의 전시품이 소개된다.

처음 들어본 빈미술사박물관은 1773년 마리아 테레지아 황제가 합스브루크 가문의 컬렉션을 대중에게 공개하라고 명령하면서 역사가 시작된다. 놀랍게도 루브르박물관보다 17년 먼저 문을 연 셈이다. 특이하게도 빈미술사박물관에는 프랑스 화가들의 작품을 찾아보기 어렵다고 한다. 신성로마제국을 지배한 합스부르크가는 오랜 시간 프랑스 부르봉 왕가와 적대적 관계였던 이유였다. 그러나 1750년대 프로이센이 급성장하자 견제하기 위한 일시적 동맹을 맺게 되는데 그때 프랑스에서 건너온 신부가 마리 앙투아네트다. 그녀의 어머니가 바로 마리아 테레지아 황제였다.

미술사에서 유의미한 미술 전성기의 걸작, 합스부르크 가문의 초상을 만나는 것만으로도 이 전시를 감상할 이유는 충분하다.

합스부르크 왕가는 15~20세기 초까지 약 600년간 신성로마제국과 오스트리아 영토를 다스리는 황제로 군림한 가문이며, 유럽의 정세에 가장 영향력 있던 명문가이기도 하다. 디에고 벨라스케스의 <흰 옷을 입은 마르가리타 테레사 공주>, 피터르 파울 루벤스 <주피터와 머큐리를 대접하는 필레몬과 바우키스>, 얀 브뤼헐 1세 <꽃다발을 꽃은 파란 꽃병> 등 대표 소장품 96점이 건너왔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우리나라와 독특한 인연도 확인할 수 있다. 1892년 수교 당시 고종 황제가 오스트리아 프란츠 요제프 1세에게 선물했던 조선의 갑옷과 투구도 이번 전시에 선보이게 된 것이다.

빈미술사박물관 소장 서양미술 거장들, 페타 파울 루벤스, 디에고 벨라스케스, 틴토레토, 베르네세, 비제 르 브룅, 얀 스테인 등 의 명화도 직접 만나볼 수 있다고 한다. 아~ 정말 가고프다. 😫

유럽 세계사에 막강한 영향을 끼친 합스부르크 왕가의 인물들을 소개와 합스부르크의 숨은 이야기, 오스트리아의 명소, 신화 이야기, 음악사까지 그들의 문화가 이 책에 집약되어 있다. 그림에 얽힌 그들의 역사와 인물들의 숨은 이야기들을 볼 수 있어 흥미로웠다. 그중 오스트리아 제국의 마지막 황후 '엘리자베트 혼 비텔스바흐'의 초상은 꼭 실물로 영접하고 싶었다. 언니와의 약혼식장에서 황제는 엘리자베트에게 한 눈에 반하고 청혼 상대를 바꿔 그녀와 결혼하게 된다. 자유를 원했던 엘리자벳은 우울증과 거식증으로 고생한다. 원래 이탈리아 국왕 움베르토 1세를 암살 예정이었으나 여의치 않아, 그를 대신할 만한 귀족을 찾다가엘리자벳을 충동적으로 암살된 것. 비운의 삶을 살다 간 엘리자벳은 100년이 넘은 흐른 뒤로도 계속되고 있다.

106쪽부터 전시 작품 리스트로 궁금했던 작품을 빨리 찾아볼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전시회에 가는 길에 이 책을 함께 가져간다면, 더 깊이 있는 감상을 할 수 있을 것 같다. 먼저 다녀온 후기를 찾아보니 시대적 배경지식을 모른 상태에서 관람 시 따분했다는 평이 있었다. 역시 알고 봐야 더 재밌는 법. 그나저나 빈미술사박물관에서 공수한 굿즈 대전도 있다는데! 엘리자벳 초상이 담긴 손거울 갖고 싶다. 나랑 같이 갈 사람 손🖐️

*출판사로부터 지원받은 도서입니다.

#합스부르크600년매혹의걸작들100배즐기기 #합스부르크600년매혹의걸작들 #국립중앙박물관

#한경arte #한국경제신문 #서평단 #도서지원 #채성모의손에잡히는독서

#미술 #전시 #합스부르크 #명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