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녀와 그 휴머니스트 세계문학 7
조르주 상드 지음, 조재룡 옮김 / 휴머니스트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 ·· ··÷¦÷·· ·· ··÷¦÷·· ·


휴머니스트 세계문학 7


『그녀와 그』


조르주 상드/ 휴머니스트


· ··÷¦÷·· ·· ··÷¦÷·· ·· ··÷¦÷·· ·




19세기에 접어들어서야 자유로운 연애가 가능했다. 이전까의 결혼의 형태란 모종의 계약이었으며 집단의 이익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그러다 보니 근친혼으로 인한 부작용으로 그들의 수명은 길지 않았고, 중세 교회는 애정 없는 결혼을 권장하며 금욕생활을 주장했으나 사람은 하지 말라면 더 하는 존재일터 그들은 안 그런척하며 더 열정적으로 사랑을 했더랬다. 물론 배우자가 아닌 누군가와. 사랑이 없는 삶이 가능하지 않았던 것이다.




이 책의 저자 조르주 상드는 프랑스 낭만주의 시대의 대표적인 여성 작가다. 본명은 아망틴 뤼실 오로르 뒤팽으로 상드는 필명이다. 연인이었던 소설가인 쥘 상드의 이름에서 따온 조르주 상드를 필명 삼아 첫 소설 <앵디아나>를 출간한다. 평범한 운명과 시대를 거부했던 그녀는 자유분방한 연애를 하며 창작활동을 펼쳤다. 관계에 규정하지 않았던 상드는 여러 분야의 사람들과 교류했고 쇼팽과 비롯해 수많은 사람들과 연애했다. 이 소설은 연하의 연인인 소설가 알프레드 드 뮈세와의 실제 사랑 이야기를 바탕으로 그려지고 있다.



상대를 향한 거부할 수 없는 이끌림, 나를 구속해줬으면 하는 강한 소망 동시에 나만의 사람이었으면 하는 바람이 사랑이라고 할 수 있을까? 내가 아니더라도 그의 행복한 미소가 늘 떠나질 않길, 그의 앞날이 축복 가득하길 바라는 마음이 우정일까 사랑일까. 이 소설에 사랑은 평화롭지 않다. 두 사람이 주고받는 서신과 대화에서 여러 감정을 읽어낼 수 있었다. 상대방에 대한 존중, 사랑, 갈망, 애증, 체념 때로는 비아냥 등 연애를 하면서 느끼게 되는 모든 감정을 토해내듯 소설은 이성보다는 감정에 충실했다.




테레즈와 로랑은 원초적으로 성향이 다르다. 비슷한 점이라고는 테레즈는 초상화가, 로랑은 건축화가라는 점이다. 예술가들은 보통의 감성을 지닌 존재가 아님을 알지만, 아이 같은 로랑의 광기는 이해할 수 없을 정도였다. 서로를 원하지만 함께 할수록 상처뿐인 시간들에 테레즈는 지쳐갔을 것이다. 휘몰아치듯 마음을 긁어내는 로랑보다 어릴 적부터 알고 지낸 리처드 파머에게서 안정을 찾고 싶어 하지 않았을까 싶다. 세 사람의 위한 정답은 과연 무엇일까.



╒◖═══════════════════════◗╕



고전로맨스만 읽으면 왜 이리 혼자 상황극을 하는지 모르겠다. (물론 현대 소설도 가끔 상황극을 한다.) 조르주 상드의 글을 처음 접하는데도 지나치게 감정 이입에 되어 수차례 감정을 추슬러야 했다. '니네 셋 다 왜들 이러는 거냐'라고 어이없어하면서 또다시 상황극을 하고. 안타깝고 속상한 순간들이 가슴이 저릿저릿하다가 그들의 절절한 사랑을 지켜주고 싶어 하는 파머 때문에 또 울컥하고 또 특별 게스트의 등장에 기뻐하고. 아! 이 소설은 요물인가. 롤러코스터를 몇 번이나 타게 할 참인지.




상드는 테레즈로, 뮈세는 로랑으로 대신해 그녀의 사랑 이야기를 들려준다. 로랑의 세계에 잠시 머물던 상드와 상드의 세계에 침범하고 싶어 했던 로랑의 집요한 사랑 이야기.


‘세기의 연인’이라 불렸던 이들의 사랑은 길지 않았다. <그녀와 그>는 두 번째 이야기로 첫 번째는 뮈세가 <세기아의 고백>으로 그녀와의 이야기를 발표했다. <세기아의 고백>은 뮈세의 시선으로 본 그들의 시간이었고 <그녀와 그>는 상드의 시선으로 본 둘의 이야기라고 볼 수 있다. 시인이었던 뮈세가 최초이자 마지막으로 써 내려간 소설도 궁금해진다. 그도 많이 아팠을 거라고 예상되지만 모든 사랑은 아름답기에 기록하고 싶었던 게 아닐까. 사랑... 그건 치명적인 고통이지만 그럼에도 우리는 여전히 사랑을 한다.







#그녀와그 #조르주상드 #휴머니스트

 #로맨스소설 #소설추천

#베스트소설

#휴머니스트세계문학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