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지식의 백과사전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이세욱 외 옮김 / 열린책들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베르나르 베르베르 창작의 원천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지식의 백과사전》






인간의 본능 중 모성은 자연스러운 성질이 아니라고 한다. 19세기 말까지 서양 부르주아 계급에 속하는 여성은 자식을 유모에게 맡기고 돌보지 않았다. 하류 계급도 마찬가지였다. 추운 겨울에 아기를 엷은 천에 돌돌 말아 벽난로 근처 벽에 매달아 두곤 했다는 것이다. 당연히 유아 사망률을 높았다. 


서양 정부는 20세기 초가 되서야 모성 본능이 경제적, 사회적, 군사적 이익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깨닫곤 육아에 관한 정보와 질병 예방법을 널리 보급하게 되었다. 그럼으로 부모는 어린아이를 잃을 염려에서 벗어나 마음껏 사랑을 줬다는데, 그렇다면 일찍 죽을지도 모르니 애초에 애정을 주지 않았다는 것인가? 


몇 해 전 프랑스 문화를 담은 '시크:하다'에서 프랑스 아이들에 대한 이야기가 떠올랐다. 아이가 어른의 눈치를 보는 게 당연한 문화였다. 어른의 영역에 함께 있다면 아이는 어른에게 맞춰 행동을 해야 한다는 게 프랑스식 육아이다. 우리나라와는 달리 서양은 아이의 영역을 확장시켜주는 육아로 상향곡선이 이뤄진다. 우리나라는 아이가 자랄수록 할 수 없는 일이 있다는 것을 가르쳐주는 반면 서양은 할 수 있는 일이 많아지는 것을 깨닫게 해주는 육아. 어떤 육아가 정답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