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거서 크리스티 읽기 - 역사가가 찾은 16가지 단서
설혜심 지음 / 휴머니스트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애거서 크리스티 읽기》

설혜심 / 휴머니스트



추리소설의 여왕, 추리 소설을 상징하는 전설, 애거서 크리스티를 모르는 사람이 있을까. 책을 좋아하지 않는다고 해도 너무나 유명하기 때문에 코넌 도일만큼 애거서 크리스티을 알 것이다. 중고등학교 시절 친구들이 재밌다고 해서 두세 권 정도 읽었던 기억이 난다. 너무 오래된 일이라 내용은 생각나지 않고 <나일강의 죽음>,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이라는 제목만 익숙하다. 사실 지금도 나는 애거서 크리스티의 열성팬은 아니다. 하지만 어떤 점이 그녀를 전설로 자리매김했는지는 무척 궁금했다. 역사가가 에거서에게서 찾은 16가지 단서에 흥미를 느꼈다.


​팬데믹이 가져온 집콕 생활로 저자는 드라마 <명탐정 푸아로>,<미스 마플> 시리즈를 보며 감탄했다고 한다. 그런데 어릴 적 읽었던 소설과 다른 느낌이 들어 다시 애거서 크리스티를 읽게 되었는데 전에는 몰랐던 역사적 맥락이 눈에 들어온 것이다. 저자가 영국사를 전공한 이유이기도 하다. 이 점이 내가 이 책을 선정한 강력한 이유다. 영국사를 전공한 전문가가 본 영국 추리 소설 속 흥미요소는 애거서 추리 소설을 더욱 재밌게 볼 수 있는 길잡이가 될 것 같았기 때문이다.




애거서가 쓴 66권의 장편 소설 가운데 살인, 살인미수,

자살과 직접 연관되어 독약이 등장하는 작품은 무려 41권에 달한다.


애거서는 '독약의 여왕'이라는 별칭을 얻게 된 이유는 전문적이면서 독창적으로 독약을 소설에 녹여냈기 때문이다. 결혼하지 않았다면 평생 간호사로 살았을 것이라고 말할 정도로 일을 사랑했던 애거서는 과로로 심각한 폐 질환을 앓게 되어 조제실에서 일하게 되었고, 공인 약제사 시험을 통과하여 진짜 약제사가 되었다. 2년을 조제실에서 보내면서 처음으로 추리소설을 쓸 생각을 했다고 한다. 에거서 소설에 약 성분과 효능을 목록화해서 책을 출판한 약대 교수도 존재했다니, 애거서의 어마무시한 파급력을 알 수 있다.


​또한 애거서는 자신의 독서 경험을 소설에 많이 녹여냈다. 그중 예상을 뛰어넘는 전문적인 책들이 튀어나와 독자로 하여금 신선한 즐거움을 선사했다고 한다. 실제로 애거서의 소설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문호는 윌리엄 셰익스피어다. 셰익스피어는 20세기 중반까지도 추리소설에 자주 나타났던 요소로 그의 작품 속 등장인물(이름)이나 대사를 인용함으로써 범인의 동기나 정체성을 암시했다고 한다. 이렇게 추리물에 대문호를 동원함으로써 폄하되었던 추리 소설의 격을 높일 수 있었다. 재미와 지적 충만감을 동시에 안겨줄 문학을 읽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추리 소설은 사회사에서 아주 유용하고도 풍부한 자료라 할 수 있다.


저자가 소개해 준 소설 속 힌트로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여성 군인, 산업화 발전으로 몰락한 영국 귀족들의 생존법, 현존하는 영국의 계급적 지표 등 변천사와 대물림을 알 수 있었다. 애거서가 주목한 미시사에 대해서도 인상적으로 읽었다. 또한 관상을 등장인물의 캐릭터로 설정하는 것도 흥미로웠다. 우리나라 영화 <관상>에 어느 한 장면과 동일하게 영국의 지배계층은 충성스러운 신하와 배신자를 구별하기 위해 관상가를 대동했다고 한다.



이 책은 소설만큼이나 가독성이 훌륭하다. 너무 짧지고 길지도 않은, 적당히 알아야 할 지식이 담겨있다. 애거서 크리스티라는 작가와 그 시대를 이해하는데 길잡이 노릇을 톡톡히 한다.


​한 사람의 생각과 경험이 글이라는 매체로 확장되어 여러 사람에게 읽힌다는 것은 위대한 일이다. 읽을거리에 불과했던 추리 소설이라는 장르를 격상시킨 그녀의 시간을 즐겁게 여행했다. 애거시 크리스티의 소설을 더 재밌게 읽기 위해 <애거시 크리스티 읽기>를 꼭 탐독하길 추천한다.






*네이버 독서카페 리딩투데이에서 지원받은 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