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이웃의 식탁 오늘의 젊은 작가 19
구병모 지음 / 민음사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딘들 사람이 둘 이상 사는 곳이라면

참견의 깊이와 농도 정도만 차이 날 뿐

마찬가지일 터였다.




정부는 젊은 부부 대상으로 마련한 '꿈미래 실험공동주택'을 시범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열두 가구 모집을 한다. 자격은 생식능력이 증명된 만 42세 미만의 한국 국적을 지닌 이성 부부로 한정되었다. 입주하는 동안에 자녀 수를 최소 셋 이상 갖도록 노력한다는 자필 서약을 작성해야했다. 경기권이면서 평당 최소금액의 전세 수준이라 경쟁률이 어마무시했다. 이런 경쟁과열속에서 운좋게 선정된 네 가구가 소설 속 등장 인물이다. 처음부터 나는 책 제목에 '네'라는 의미를 you로 생각했는데 아니었다.



1분기에는 신재강 홍단희 부부와 고여산 강교원 부부가 최초로 입주되고, 4개월 뒤에는 송상낙 조효내 부부가 입주 그리고 최근 전은오 서요진 부부가 입주하면서 환영파티를 하는 장면으로 책은 시작이 된다. 뒤뜰에는 어른 열여섯 명가량 둘러 앉을 수 있는 커다란 핸드메이드 식탁이 배치되어 있다. 이곳에서 반장같은 존재는 홍단희, 부반장(남자부 반장)은 단희의 남편 신재강이라는 것을 요진을 바로 알아챌 수 있었다. 천성적으로 활발하며 섬세하게 살피거나 돌보기를 즐기는 홍단희는 부족함이 없어보였고 경제수준도 괜찮아 보였는데 외딴곳(실험공동주택)으로 거주하기를 자청했다는 게 요진은 이해가 안되었다. 마치 기존의 인간관계나 사회 인연을 모두 청산하고 싶을 때 들어올 만한 곳이었기 때문이다.



꿈미래 실험공동주택에는 한 가지 불편한 점이 있었다. 정부는 예산 문제의 벽 앞에서 꿈미래실험주택 사업에는 어린이집이 우선순위로 포함되지 않았다. 차를 10분~20분은 건너가야 아이들을 맡길 수 있는 환경이었다. 이 문제로 요진이 이사 오기 전부터 공동육아에 대해 의논 중이었고 이제는 요진네와 함께 의견을 받아들이면 바로 실행할 예정이었다. 아이들 중에 요진의 딸이 나이가 많았다. 별 필요성을 못느꼈지만 이 주택의 취지가 공동 육아의 요람을 스스로 마련하라는 의미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미쳤고 이 사람들의 푸쉬에 소심하게만 응답했다. 그리고 공동육아는 실행이 된다.




1분기 입주자 vs 2분기 입주자

1분기에 입주한 두 가족은 자녀 2 인이었고. 2분기에 입주한 두 가족은 자녀가 1인이었다. 작가의 의도는 2:2로 대립해서 읽어달라는 뜻이었을까? 1분기의 두 가족은 화합이 잘되는 편이었고 세번째 입주된 조효내는 그들에게 얌체같은 존재로 미움을 받았으며, 마지막 입주한 요진이는 조금만 부추기면 자기네 편으로 만들 수 있는, 어찌보면 쉬운 사람으로 그들(단희와 교원)에게 비춰졌을 것이다. 그렇게 그들은 요진의 인생에 침범한다.




자꾸만 선을 넘는다

자신의 신념이 정답이며 강요하고 맞지 않으면 마땅히 배제되어야한다고 생각하는 홍단희, 그런 홍단희의 훈계하듯 잔소리를 듣는 연하남 남편 전은오의 관계가 위태로워보였다. 교통사고로 당분간 차를 못쓰게 된 이들은 요진이와 카풀하게 되는데 재강은 자꾸 요진에게 추파를 던진다. 혹시 이사오기전에도 이런 불미스러운 일이 있었던 건 아닐까? 재강은 호의와 추파를 널뛰기를 하며 요진의 마음에 혼란을 주고 요진은 남편 전은오에게 상의하려했지만 몇 번의 기회를 잃고 만다. 요진은 어떤 선택을 해야했을까?






『네 이웃의 식탁』의 인물들은 동일한 자격으로 입주했지만 각자 성향과 신념이 다른 사람들이었다. 인간 군상들을 지켜보고 있으면 어딘가에서 꼭 만났던 사람들 마냥 익숙하다. 사람 사는게 거기서 거기다~라는 말이 저절로 나오는. 어딜가나 이런 인간은 있더라는~그런 사람들의 이야기지만 작가의 화려한 필력에 감탄하며 인물의 심리에 이입되어 같이 욕하며 읽어냈다. 토론도서로 지목을 받았던 이유를 알 것 같다. 뒤가 아주 개운치 않고, 각각의 캐릭터와 상황들에 대해 할 말이 무궁무진할 것 같다. 가독력은 좋아 술술 읽혔으나 머릿속에 생각이 자꾸 맴도는 그런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