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켄슈타인 - 200주년 기념 풀컬러 일러스트 에디션 아르볼 N클래식
메리 셸리 지음, 데이비드 플런커트 그림, 강수정 옮김 / 아르볼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록색 얼굴에 군데군데 박음질된 얼굴과 몸, 눈 옆에는 커다란 나사가 박혀있으며 약간 곱추인 기형인간이 어렸을 적 티비에서 봤던 『프랑켄슈타인』 의 모습이다. 나는 여태 무서운 인조인간의 이름이 프랑켄슈타인이라고 알고 있었다. 그런데 괴물은 이름이 애초에 없었다. 괴물은 탄생과 동시에 세상에 버려졌다. 무섭거나 흉칙했던 것을 못봤던 나는 이제야 프랑켄슈타인을 제대로 읽어본다.




『프랑켄슈타인』 은 지혜와 고결함을 쫓아 항해하는 로버트 월튼 선장이 누나인 마거릿 새빌에게 보내는 편지 형식으로 시작이 된다. 항해를 하며 겪었던 경험이나 자신의 생각을 누나에게 전하고 있었고, 위험한 항해로 걱정하는 누나를 안심시키고자 했다. 누나와 대화하듯 써 내려가지만 특별한 경험을 글로 남기고 싶은 욕망도 더러 보였다.


로버트는 누나와 편지로 감정을 전달하지만 외로웠던 그는 실질적인 진심 어린 친구가 필요했다. 망망대해에서 친구 구하기란 별 따기만큼 어렵다고 단념하던 차에 썰매개를 몰던 조난자를 구해 배에서 돌보면서 우정을 쌓는다. 이방인은 자신에게서 달아난 자를 찾으려다 죽을 뻔했다. 달아난 자를 악마라고 부르면서 자꾸 그를 쫓는다. 몹시 지쳐있는 그의 사연을 캐묻지 않고 정중하게 대해주던 로버트에게 자신의 겪은 재앙을 풀어놓으려 마음먹는다.



이방인의 이름은 '빅터 프랑켄슈타인'. 그는 제네바 출신으로 명예로운 가문의 장남이었다. 자신의 가족에 대해 환경, 자신이 배우고 싶었던 분야, 에피소드등을 쏟아내며 현자의 돌을 찾아 불로장생의 약을 찾는 연구에 매진하고 싶어했다고 한다.


그런 그에게 잉골수타트 대학의 발트만 교수와 만남으로 운명이 결정 되었다. 2년동안 밤낮 탈진할 정도로 노력한 끝에 생명을 불어넣을 능력을 갖게 된다. 해부실과 도살장에서 재료들을 구해 240센티미터에 비율을 맞춰 추악한 창조를 한다. 그러나 자신의 피조물이 눈을 뜬 순간 정신을 차린다. 숨 막히는 공포와 혐오가 가득해진 그는 도망을 쳤고 피조물도 사라진다.



"내가 당신의 피조물이라는 것을 잊지마.

당신의 아담이어야 하는 내가 타락한 천사가 되었고,

아무 잘못도 없는 나를 당신은 기쁨에서 내몰았다.

온 세상에 축복이 가득하건만 오로지 나만 돌이킬 수없이 쫓겨났다.

나는 자비롭고 선량했건만,

불행이 나를 악마로 만들었어.

나를 행복하게 만들어 준다면 다시 고결해지겠다." p128~129



이름없은 피조물은 순수했다. 아는 게 없는 무지의 상태의 그를 도와줄 사람이, 어떻게 살아야하는지 알려줄 사람이 하나도 없는 비참한 외톨이었다. 헛간에 숨어 사람들을 몰래 지켜보며 언어를 독학하고 가끔 책을 훔쳐 지식을 쌓았다. 언어를 터득하면 흉측한 자신의 외모를 무시하게 만들 수도 있다고 생각했다. 그건 완벽한 착각이었다.



자신의 선택으로 이 세상에 나온게 아님에도 혐오와 공포로 대하는 사람들의 행동에 절망에 빠졌다. 창조자만이 유일하게 자신의 슬픔을 거둬주리라 기대하고 찾아갔지만 여전히 자신을 증오했다. 그동안의 자신이 당했던 수모와 슬픔, 외로움을 차분히 이야기로 빅터에게 연민을 얻게되고 의무감을 느낀 창조자는 피조물의 요구에 따라 동일한 피조물을 만드는 작업을 하기로 약속하는데..





빅터가 조금만 애정을 줬더라면... 창조자와 피조물 모두 불행해지는 일이 없었을까. 자신이 만든 피조물의 비애보다 인류의 평화가 중요했기에 간절한 요청을 거부했던 빅터는 소중한 사람들을 차례대로 잃는다. 피조물은 악하게 태어난게 아니라 창조자에 의해 악하게 되버린게 아닐까. 도무지 나는 이해를 할 수없었다. 어떻게 끝까지 자신이 만든 피조물을 부정하며 악마라고 단정짓는건지...하긴 아직도 인종차별적인 모욕과 폭행이 난무한 뉴스가 보도되는데 예전의 픽션이라면 더 했을지도 모르겠다. 파격적인 내용이지만 철학적인 요소들이 많은 『프랑켄슈타인』은 고전문학인건 틀림없다. 피조물의 입장에서 인간은 열망의 대상이었으며 공감하고 싶었던 대상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