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다라 드로잉 - 그림으로 시작하는 명상
김명선(환희지) 지음 / 미디어샘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만다라는 컬러링과 드로잉 북에서 익숙하게 접해왔지만 의미와 역사에 대해 공부할 기회는 없었다. 마음 수련 요가 종목 중 하나라고만 알고 있었고 그림 작업을 할 때는 늘 힐링이 되었기에 만다라 명상 방법에 대해서는 문외한이었다. <그림으로 시작하는 명상 만다라 드로잉>은 기존의 취미 도서와는 다르게 세부적으로 만다라를 정의하며 효용성에 대해 알려주고 효과적인 만다라 명상법을 제시하고 있었다.

m2.jpg


나름 요가인이라고 생각하는 나는 사바사나와 수카사나를 통해 요철이 심한 마음을 수평선으로 만들기 위한 시간을 갖는다. 그러다 간혹 잠들기도 하지만 강사님은 지극히 정상적인 행동이니 부끄러워하지 않아도 된다고 하셨다.
요가 수업 중에 명상은 호흡을 통해 마음의 소리를 풀어내지만, 만다라의 명상은 손끝으로 마음을 풀어내는 방법이다. 

만다라는 고대 산스크리트어로 '본질'이라는 뜻과 '성취하다'라는 뜻의 합성어로 '본질을 이룬다' '깨달음을 얻는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p4

이전까지 그려왔던 만다라와는 달리 이 책의 만다라는 검은색과 하얀색으로만 드로잉이 되어 있다. 저자의 순간적인 직관대로 그려져 있고, 그 당시의 통찰을 담았다고 한다.
그리고 순서가 없다. 마음이 가는 명상 주제를 선정하여 읽고 스케치해둔 그림을 참고하여 옆 장의 밑그림에 그리면 된다. 그림의 순서 또한 없다. 작은 원부터 그릴지 큰 원부터 그릴지는 본인의 마음이 가는 대로 시작하면 된다. 

나는 '소리에 대한 반응을 관찰하다'라는 제목의 명상을 골라 진행해보았는데 이 명상으로 고른 이유는 소리에 유난히 예민한 신체를 타고났기 때문에 늘 소음으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기 때문이었다. 누군가는 '집중하면 아무 소리도 안 들리던데 넌 그게 다 들렸어?'라고 너무 예민한 나를 가여워하곤 했다. 우리 집 안방에는 초침 시계가 없을 정도로 나의 귀는 초예민하다. 감정 소모가 심한 날에는 더욱더 크게 들리는 소음으로 머리가 지끈거린다.
하지만 이 책에서의 이 명상은 약간 시끄러운 공간에서 시작하라고 권한다. 카페나 사람이 북적이는 공간에서 눈을 감고 소리에 집중하여 소리에 반응하는 나를 지켜보는 명상을 시도하는 만다라 그림이다.


m22.jpg


만다라 완성으로 명상은 끝나지 않는다. 개인적으로 마지막에 빈칸을 채우는 작업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이 들었다. 이 작업은 나의 만다라에 제목을 붙이며, 그리면서 떠오른 감정과 생각을 정리하는 것으로 만다라가 나에게 어떤 말을 건네고 있는지 들여다보는 시간이었다. 하나의 주제로 오로지 나의 반응에 집중하는 명상이라 가급적 여유 있는 시간에 수련하는 것을 추천한다.

m222.jpg


이 책의 목차는 마지막 장에 제공되고 있으니 지금의 나의 마음 상태와 고민에 따라 선택하면 된다. 무력감, 욕구, 좌절, 공포, 분노, 용서. 건강, 사랑, 자존감 회복, 감사 등 여러 주제가 있으니 참고하길 바란다.
세계 명사들이 성공한 비결의 하나로 명상을 꼽는다. 가장 쉬운 명상 도구 중에 하나인 만다라 드로잉으로 스트레스와 잡념을 비워내고 내면의 에너지를 채워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