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고 여자들은 침묵하지 않았다
크리스티나 달처 지음, 고유경 옮김 / 다산책방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제목을 보는 순간 알라딘의 자스민 공주 '나오미 스콜'이 솔로로 부른 'Speechless'가 생각이 났다. 


고정관념, 규칙들, 말 한마디 한마디
아주 오래되고 꽉 막힌
네 자리를 지켜
얌전히 네 자리를 지켜
하지만 이제 그런 이야기는 끝났어


 기존의 알라딘의 자스민은 순종적이며 수동적인 어린 양 같은 존재였지만 새롭게 선보인 알라딘에서는 신여성의 모습을 보여줘서 관객으로부터 큰 호응을 일으켰다. 자스민처럼 통쾌한 한 방을 보여주는 책이려나 하고 읽어보려고 했던 <그리고 여자들은 침묵하지 않았다>에서 여성은 구 알라딘의 자스민공주보다 더 끔찍한 환경 속에 살고 있었다. 현대 사회의 부정적인 측면이 극단화한 암울한 미래상을 디스토피아라고 하지만 너무 극단적이다.



 하루에 100단어만 말할 수 있고 고위 관리직으로 커리어를 날리던 그녀들은 집안에 들어앉게 되었다. 또한 배움의 근본인 책과 글자로 된 모든 것들을 만질 수도 볼 수도 없는 세상이다. 펜도 우표도 여자들은 구매할 수가 없다. 불과 1년 전부터 아기들도 예외 없이 여성이라는 이유로 억압을 받게 되었다. 종교학이라는 수업을 만들어 철저하게 남성과 여성의 역할 분리를 아이들에게 가르치고 있었다. 



"그 후 열 단어씩 늘어날 때마다 1마이크로 쿨롱의 10분의 1씩 늘어나. 0.5마이크로 쿨롱이 되면 고통을 느끼게 되고, 1 마이크로 쿨롱이 되면…"



 1년 전부터 여성들의 왼손을 잡고 있는 카운터에 대한 대화이다. 수갑처럼 전기 충격기는 임의로 풀 수가 없다. 이런 '순수 운동'은 종교의 지배를 받던 남부 지역 어딘가에서 퍼지기 시작하더니 나라의 대부분 나라에서 성행하게 되었다. 



주인공인 신경학과 언어학의 권위자인 진 매클렌런 박사도 마찬가지로 직함을 잃어버리고 가정주부로 살아가고 있었다. 네 아이의 엄마로 막내는 딸 소니아도 카운터를 차고 있다. 대통령의 형 바비 마이어스 사고 소식이 전파를 타고 있던 찰나 진의 집으로 남편 패트릭이 손님을 데리고 왔다. 바비 마이어스가 뇌 손상으로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상황의 도움의 손길을 내민 것이다. 실어증 치료제를 만들어 달라는 것. 



실어증 예방 혈청은 사용자에 따라 무기로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는 진은 제의를 거절하려고 했지만 제안을 받아들이고 본인과 딸의 카운터를 해제를 요청한다. 얼마 후 중단 전 팀원들과 함께 실어증 치료를 위한 혈청연구에 돌입한다. 그리고...



<멋진 신세계> <1984> <시녀 이야기>의 맥을 잇는 가장 현실적이면서도 충격적인 이야기라는 책표지처럼 굉장히 충격적이었다. 목소리를 빼앗으면서 굴복시키려는 정부의 추악한 움직임에 소름이 돋았다. 우유를 사다 놓는 게 엄마의 일이라며 당당하게 말하는 장남 스티븐은 순수운동을 앞장서서 하는 것을 자랑스러워했다. 막내 딸 소니아는 학교에서 말하지 않기 선발대회를 놀이처럼 하고 있다. 역할놀이에 심취한 이 아이들이 자라서 어떤 세상을 만들어낼지 정말 무서웠다. 절대 있을 수도 있어서도 안되는 스토리는 읽으며 생각해본다. 남자들은 이 소설을 어떻게 받아들일지 말이다. 남성 독자의 서평이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