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엔젤의 마지막 토요일
루이스 알베르토 우레아 지음, 심연희 옮김 / 다산책방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에서 느껴지는 마지막 토요일이란, 다시 오지 않을 토요일.. 누군가의 시간이 멈춘다는 뜻일 것 같았고, 빅 엔젤은 좋은 사람? 아니면 큰 지위에 있는 사람을 의미하는 것 같기도 했다. 저자인 루이스 알베르토 우레아는 아버지는 멕시코인, 어머니는 미국인으로, 멕시코를 비롯한 남아메리카와 미국에서 생활한 경험을 바탕으로 사랑, 상실, 승리, 죽음 등의 주제를 글로 썼다고 한다. 형의 마지막 생일 파티에 영감을 받아서 쓰게 된 소설이 <빅 엔젤의 마지막 토요일>이다. 이 책은 뉴욕타임스 주목할 만한 책 Top 100, 뉴욕타임스 북 리뷰 선정도서, 뉴욕 도서관 올해의 추천도서, NPR 올해의 책등에 선정되었으며 할리우드 TV 영상화를 앞두고 있다고 한다.


 이 책의 주연 빅 엔젤은 암 선고를 받고 죽음을 앞둔 노인으로 멕시코인 이름이다. 빅 엔젤은 미국으로 이주해서 살고 있고 멕시코인이라는 것에 자랑스러워한다. 그의 70세의 마지막 생일파티를 일주일 앞두고 100세이신 어머니 마마 아메리카가 돌아가시게 된다. 첫 페이지는 어머니의 장례식에 지각하는 장면이다. 


"인생이 그런 거라고, 멍청아. 너 말이야. 물결은 처음에 세차게 시작하지만, 해안으로 갈수록 점점 약해지지. 그러다 다시 안으로 돌아오고 돌아오는 물결은 눈에 보이지 않아. 하지만 분명히 존재해서 세상을 바꾸는 법이야. 그런데 너는 지금 본인이 뭔가 쟁취했는지 어떤지 의심이라 하고 있잖아." P.41


 삶과 죽음에 대한 생각을 계속하게 하는 책이다. 멕시코인들의 정서가 우리나라와 동떨어지진 않은 것 같았다. 북적거리는 사람들 속에서 먹고 마시고 떠드는 것이 자연스럽게 보였다. 다만 색드립을 자식이 보는 앞에서도 하는 부부를 보며 우리보다는 개방적인 것 같기도 하다. 아버지 돈 안토니오가 미국 여자에게 빠져 새로운 가정을 만들고 자식을 낳는데 큰 아들과 같은 이름을 준다. 리틀 엔젤은 이 집안의 막내로 혼혈이다. 그는 아버지의 두 번째 가정 그리고 혼혈이라는 이유로 애매한 위치에서 성장한다. 어른이 되어서는 사건사고가 많은 가족을 외면하려 하지만 늘 큰형을 부러워하고 미워하고 존경했다. 가족 구성원 개개인의 이야기들이 펼쳐지지만 나는 이 두 형제의 대화가 마음이 갔다. 침대에 나란히 누운 형제는 서로 고해성사를 하듯이 과거의 잘못했던 점을 꺼내고 공유한다. 리틀엔젤은 형을 용서해주기로 했다. 


모든 사람은 비밀을 품고 죽는다. 빅 엔젤은 분명히 행복한 사람일 것이다. 가장 끔찍한 사실을 안전하게 숨긴 채로 죽을 테니까. 삶이란 사물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기 위한, 또한 타인으로부터 무언가를 지키기 위한 긴 투쟁이다. p466


 이 책에서 미국에서 멕시코인들이 살아가는 분위기를 느낄 수 있었다. 인종차별, 불법체류자들, 멕시코인의 빈곤한 삶이 비춰지는 책이다. 죽음이라는 소재는 빅 엔젤에게 진정으로 가족을 사랑하는 법을 알려주었고, 용서와 화합을 이룰 수 있게 해주었다. 다소 칙칙할 수 있는 배경이었지만 멕시코인들만의 유쾌한 성향으로 마냥 우울하게 읽지는 않았던 것 같다. 나에게는 제법 두꺼운 책이라 부담을 살짝 가지고 읽었지만 멕시코의 정서를 들여다볼 수 있었고 가족의 죽음에 대해 다시 생각할 수 있게 해준 책이라 좋았다. 할리우드 TV 영상화라면 나중에 볼 수 있는 거겠지. 꼭 시청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