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름을 사랑하는 기술 - 물과 공기가 빚어낸, 우리가 몰랐던 하늘 위 진짜 세상
아라키 켄타로 지음, 김정환 옮김 / 쌤앤파커스 / 2019년 12월
평점 :
절판


 하늘을 올려 다 본 게 언제쯤일까.

매일 날씨 앱에서 제공된 미세먼지 수치에 촉수를 세우고 외출 시 마스크를 생명줄처럼 얼굴에 밀착시킨다. 밖에서 하늘을 보는 시간보다 실내에서 하늘을 보는 시간이 더 많아진다. 그러니 올려다보기가 아니 창밖을 보게 된다. 어느 날 구름모양이 얼마 전 별나라로 간 강아지 같아 울컥했었다. 또 어느 때는 하트 모양처럼 보일 때가 있는데 신기했다. 나는 가끔 구름을 보며 누군가를 그리워하고 위안을 받기도 한다. 그런데 구름은 항상 변하는 것일까. 원리가 궁금하다.


 <구름을 사랑하는 기술>이라 제목이 흥미로웠다. 더욱 재밌는 것은 저자 이라키 켄타로가 일본 애니 <날씨의 아이>를 감수했다는 것이다. 그는 기상전문가이자 기상연구소 연구원으로 이 책으로 10년 동안 수집한 아름다운 구름 사진과 구름에 대한 기상과학을 우리에게 쉽게 알려주고 있다. 하늘을 올려다보는 즐거움을 잊은 사람들에게 다시 즐거움을 주고, 보고 싶은 구름을 즐기는 요령을 공유하는 게 저자의 목적이라고 한다.


 구름은 기체라고 추측했지만 내가 틀렸었다. 구름은 수많은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의 집합체가 지구 대기 속에 눈에 보이는 형태로 떠있는 것이라고 한다. 또 기막힌 사실, 우박이 구름 안에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었다. 고도의 얼음 결정들이 과냉각과 구름방울을 만나 수막이 동결되고 반복되는 상하운동을 거친 끝에 싸라기눈을 초월한 존재가 되는 것이었다. 엄청 신기하고 흥미로웠다.


 구름을 사랑하는 기술이란 늘 구름을 사랑하고 구름과 친밀하게 지내면서 구름이 우리에게 알려주는 하늘의 기분을 짐작하는 기술이라고 한다. 구름은 하늘의 일부일 뿐 하늘에서 벌어지는 온갖 에피소드들이 이 책에 쓰여있었다. 행운을 부른다는 무지개라든지 아름다운 노을, 신비로운 오로라, 매일 바뀌는 달 빛, 경고하는 적란운, 우박이나 번개의 과학 등 흥미로운 소재들이 많았다. 


 가장 재밌는 부분은 5장에 구름과 우리 안에서 '구름에 담긴 과학' 챕터였다. 눈 결정의 윤곽이 잘 보이게 사진 찍는 요령, 무지개를 만드는 방법, 유체 놀이 등이다. 아이들에게 보여주면 마술 잘하는 이모로 보일 수도 있겠다. ^^ 더불어 사랑하는 사람에게 점수를 따는 방법에 사용하는 것도 추천한다.


 저자는 하늘이 마음을 비추는 거울이라고 한다. 각자의 기분에 따라 구름 세상의 분위기도 달라져 보이는 것이다. 어느 날 별이 된 강아지의 구름을 본 날은 그 순간 보고 싶어서였던 것 같다.
과학 중에서도 생소한 기상과학이라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다. 하지만 중간에 사진과 동영상 QR코드도 있으니 참고해보자. 다만 저자가 만든 영상이다 보니 언어가 일본어이다. ㅎㅎ
소중한 사람과 하늘을 보며 구름 이야기를 하는 날에 슬며시 구름의 원리가 이름을 말해보자. 이 책을 마스터하면 밤하늘의 별을 보며 이야기하듯 구름을 보며 달콤한 이야기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