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지 마, 나 좋은 사람 아니야 - 세상의 기대를 단호하게 거절하는 자기애 수업
파브리스 미달 지음, 김도연 옮김 / 동양북스(동양문고)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맥 또는 뒷심이 바탕이 되어 성공할 시대는 이미 지났다. 바야흐로 자신이 직접 상품 가치를 알리지 않으면 안 되는 나 브랜드 시대이다. 그렇다 보니 나를 알리기 위해 스스로를 점검해야 한다. 이런 습관은 자신의 가능성을 과소평가하지 않게 된다. 무엇보다 자기 내부로부터 발산되는 의욕을 느낄 수 있다. 긍정적인 동기가 유발되면 원하는 일을 유연하게 처리할 수 있다. 

어딜 가든 겸손해야 하고, 절대 튀는 행동을 하지 말라고 배웠던 나는 나의 장점을 알리는 것이 잘난 척으로 보일까 봐 마음이 불편했다. 비단 나만의 생각은 아닐 것이다.
자신을 긍정적인 모습을 발견하고 사랑하는 것이 어리석은 일이 아니라는 것을 〈이러지 마, 나 좋은 사람 아니야〉에서 찾아보자. 

■ ■ ■



이 책의 원제는 <당신의 목숨을 지켜라!>이다.
나르시시즘이 왜 나쁜 걸까? 이타적인 것이 과연 도덕적인 것일까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한 글이라고 한다. 수많은 언론에서 자기애를 고귀한 영억으로 끌어올렸다는 찬사를 받았고 출간 이후 프랑스 아마존 종합 베스트셀러 10위안에 올라 그 가치를 입증했다. [책날개에서 발췌]

우리는 다른 사람보다 자기 자신에게 더욱 가혹하게 구는 경향이 있다. 자신의 목소리를 듣지 않고 다른 사람이 나에 대해 말해주길 기다린다. p24

나르시시즘은 자기중심적인 태도가 아니다. 자신을 살아 있는 존재, 관심을 받을 만한 존재로 인식하는 태도다. p39

스스로를 치켜세우는 건 농담이 아닌 이상, 뻔뻔한 사람으로 치부되기 마련이다. 조금이라도 자신의 장점을 떠벌리는 사람은 '잘난 척한다'라는 소리를 듣는다. 겸손하라는 견고한 사회적 규범이 우리를 옭아매기 때문이다. (중략) 이런 세뇌 때문에 우리는 자신의 재능과 힘, 능력과 천재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다. p50

자부심은 무언가를 성취했을 때 느끼는 자연스러운 감정이다. 하지만 이를 겸손과 신중함의 정반대로 바라보는 사회적 분위기 때문에 쉽게 느끼지 못한다. p72

진정한 나르시시스트는 내 가치를 인정받으려고 다른 이의 시선을 갈구하지 않는다. 자부심은 내가 느끼는 것, 내가 할 줄 아는 것을 확신하는 행위다. p73

나의 나약함과 불완전함을 건드리지 않고는 자신을 용서할 수 없다. 보고 싶지 않은 나의 약점과 대면해야 하며, 무시하고 싶었던 상처들, 내가 닮고자 열망했던 모델의 이미지와는 전혀 다른 나의 현실을 똑바로 마주해야 한다. p83

나를 사랑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 아니다. 움츠러들게 만드는 습관과 복종의 감옥에서 탈출한 용기를 갖는 일이다. 누군가가 받아들일 수 없는 일을 요구할 때, 옳은 일이 아니란 걸 알았을 때 '싫다'라고 거절할 수 있는 힘을 나의 내면에서 찾아내는 것이다. p158

나를 사랑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 아니다. 그 사랑은 내 한계, 열등함, 내 가능성, 나의 인간 됨 모두를 통틀어 나 자신에게 '예스'라고 말하는 지적 행위이다. p162


■ ■ ■


나르시스에 대한 신화가 부정적인 내용으로 변이 되었다는 사실을 이 책을 보고 알게 되었다. 그리스 신화에서 나르시스는 삶의 재생을 의미하고 나르시스가 쓰러진 자리에 처음 보는 꽃이 피었는데 그 꽃이 바로 수선화이다. 수선화가 상징은 부활. 

시대에 따라 변해버린 신화 속 교훈으로 우리는 자신을 낮추고 들어내지 않는 게 미덕이라고 배웠지만 그 속에서 자신을 점점 잃어가곤 했다.
이 책에서는 자신을 당당하게 사랑해야 하는 이유와 드러내는 것이 나쁜 일이 아니라는 것을 알려준다. 또 자신을 위한 거절을 죄책감 없이 할 수 있도록 용기를 줬다.
자기계발의 첫걸음은 자신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것.
나는 왜 스스로에게 부담을 주는가.
이 책을 통해 긍정적인 자기 대화를 해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