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임 - Fame
영화
평점 :
상영종료


 

 누구나 낭만을 꿈꾸며 성장합니다. 미와 사랑 예술을 꿈꾸는 어린 시절의 작은 예술가였던 우리는 점차 현실에 눈을 뜨며 낭만을 잃어 갑니다.  

 예술을 꿈꾸던 이들은 쉽사리 인정받지 못하는 현실에 상처받고, 내면의 가치를 끝까지 밀고 나갈 소신을 잃으며 점차 세속의 가치에 기대게 됩니다.  

 미(美)와 사랑, 문학과 음악 보다는 숫자와 물질의 개념이 중시된 사회에서 정체성을 잃고 떠도는 언더그라운드의 아티스트를 그리는 영화 바로 <페임>입니다. 

 영화는 입학부터 졸업까지 예술 학교를 배경으로 일대기를 보여줍니다. 영화 속 '작은 예술가'들이 겪는 과정은 다양하면서도 보편적 입니다.  

 누군가는 성공을 하고, 누군가는 주변의 반대에 부딪힙니다. 누군가는 진로에 대해 끊임없는 고민을 하고, 누군가는 꿈을 유린 당하고, 누군가는 이제 까지 자신이 믿어 온 모든 것을 포기하는 법을 배워야 합니다. 

 영화 속 인물들이 겪는 갈등과 좌절의 상황은 예술이 아니더라도 목표를 향해 가는 청춘들이 경험했던 혹은 경험해야 할 것들입니다. 청춘의 고민, 불안정함을 담아내는 영화적 공감대는 위안이 됩니다. 성장 과정에서 겪는 고민이 나만의 몫이 아니라는 것 자체로도 든든한 동지를 얻은 느낌을 줍니다.  

 영화는 교과서 적으로 꿈을 이루기 위해 '어떻게'하라고 설파하지 않지만 어떤 마음가짐을 가져야 할지에 대해서는 넌지시 제시합니다.  

 저마다의 차이는 있겠지만, 그 마음가짐이 '자신감'이 아닐까 개인적으로 추측해 봅니다. 세상에 자신을 가장 믿어 줄 사람은 바로 '자신' 밖에 없습니다. 나를 믿지 못하면 다른 사람도 설득시킬 수 없다는 <페임>의 은유적 메시지가 누군가의 잠들어 있던 '꿈'을 다시 일깨울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임 - Fame
영화
평점 :
상영종료


내 안에 잠든 자신감을 일깨우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애자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사회 생활을 하다보면 집만큼 좋은 곳도 없다는 생각을 합니다. '집'이라는 단어의 어감만으로도 마음이 편안해 지는 것은 자신을 세상 어느 누구보다 생각해주는 '가족'이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아무런 조건 없이 자신을 이해하고, 생각해 주는 가족이라는 구성원은 사회에서 심적으로 지친 기운을 보충해주는 에너지가 됩니다. 그들의 따뜻한 마음에 힘 입어 사회적 가면과 위선 없이 내 자신을 드러내 보이는 가정은 그 만큼 누구에게나 편안한 공간입니다.  

 그러나 가끔 그 지나친 편안함은 서로에 대한 배려, 존재의 소중함을 간과하게 합니다. 영화 <애자>속 두 모녀처럼 말입니다.  

 작가를 지망하는 '애자'의 자유 분방한 성격은 엄마와 허울없이 지내게 하는 한편 아들에게 의지하며 살아온 엄마의 고지식함을 이해하지 못하게 하는 요인이기도 합니다. 답답하고 이해할 수 없지만, 그래도 부모이기에 어쩔 수 없이 이해하게 되는  끈끈한 혈연 이상의 관계, 바로 어머니와 딸의 관계가 아닐까요?  

 여자로서 바라보면 안탄깝고 측은하지만, 기대하는 엄마로서의 역할은 실망스러운, 애정과 증오의 묘한 감정이 뒤섞인 딸의 시선이 잘 표현되어 있는 <애자>는 어머니와 갈등의 경험이 있는 이들이라면 공감하면서 볼 수 있는 영화입니다. 

 언제나 내 곁에 존재할 것 만 같은 어머니, 그러나 영원한 것은 없습니다. 익숙하고 당연하다 생각하면서 존재의 의미에 무색해져가는 이가 있다면 '존재'에 대하여 그리고 그 존재의 '소중함'에 대하여 마음으로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시는 건 어떨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번 주말엔 무슨 영화를 볼까? >9월4주

 

 쓸쓸한 계절 가을입니다. 가을의 스산한 바람은 마음을 더 시리게 합니다. 쓸쓸함이 외로움을 증폭시킬때 사랑하는 사람이 곁에 있다는 사실은 그 자체만으로 힘이 욉니다. 사랑을 원하는 이들이라면 한번 쯤은 꿈꾸었을 헌신적인 사랑, 그 사랑의 위대한 힘이 이번 주에 추천할 영화 속 두 편에 담겨 있습니다.   

  

 눈물을 왈칵 쏟고 싶은 계절의 정서에 호응하는 영화입니다. 시한부 인생이라는 시간의 한계를 눈 앞에 두고 있는 두 남녀의 가슴 아픈 사랑을 다루고 있습니다.  

 다가올 죽음 앞에서 한 없이 나약한 남자와 그런 남자를 사랑하는 여자를 지켜보는 것만으로도 관객의 슬픔은 배가 됩니다.  

 시간이 흐를수록 절망으로 치닫는 남자와 그런 남자의 곁에 있는 것 이외에는 어떤 힘도 되어줄 수 없는 여자, 이 둘의 관계가 자아내는 안타까운 감정의 골을 담은 <내사랑 내곁에>는 사랑과 희생에 대한 의미있는 고민의 시간을 쥐어 주는 영화입니다. 

 

  역사적인 소재는 과거의 사실을 바탕으로 한다는 점에서 '익숙함'을 또한 그런 사실을 재구성 한다는 점에서 '신선함'을 동시에 줍니다.  

 이런 점에서 영화 <불꽃처럼 나비처럼>은 역사적으로 큰 반향을 가진 명성황후 사건을 다루고 있어 개봉전부터 큰 관심을 받아왔습니다.  

 청초한 이미지의 수애와 슬픈 눈빛을 간직한 조승우가 연기하는 황후와 호위무사의 사랑이 궁금해집니다.

 태생부터 지닌 신분의 한계로 사랑을 포기해야 했던 이들의 애절함과 운명의 난관이 어떻게 그려질지 기대를 하게 되는 영화 <불꼴처럼 나비처럼>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날아라 펭귄 - Fly, Penguin
영화
평점 :
상영종료


날아라 인권영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