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떻게 살 것인가 - 힐링에서 스탠딩으로!
유시민 지음 / 생각의길 / 2013년 3월
평점 :

정말 하고 싶은 일과 해야 할 일이 일치할 때 행복한 삶이라 할 수 있다는 말은 만고불변의 진리이다. 그러나, 정말로 많은 사람들이 관념적 이상향으로 그리고만 있을 뿐 현실은 다람쥐 쳇바퀴와 같은 일상을 한치도 벗어나지 못한다. 무엇이 사람을 행복하게 하는가? 어떻게 인생을 살아 갈 것인가? 누구도 쉽게 답할 수 없고, 삶으로 증명해내기 힘든 풀리지 않는 방정식과 같은 문제일 뿐이다.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기 결정권'을 행사하는 일이다. '자기 결정권'이란 스스로 설계한 삶을 옳다고 믿는 방식으로 살아가려는 의지이며 권리이다. p37
저자인 유시민씨는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자기 스스로의 결정에 따라 주체적으로 살아가는 삶의 방식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저자도 나도 당신도 그렇게 살아 오지 못했다. 어쩌면 당신은 주체적으로 살아왔을지도 모르겠다. 확실한 것은 적어도 저자와 나는 그렇게 살아오지 못했다는 점이다. 그는 지금껏 살아온 자신의 삶에 대해 다음과 같이 고백한다. 그리고 앞으로 살아갈 인생에 대해 다음과 같이 희망한다.
나는 내 삶을 스스로 설계하지 않았다. '닥치는 대로' 열심히 살았지만 내가 원하는 삶을 내가 옳다고 생각하는 방식으로 산 것은 아니었다. 지금부터라도 내 삶에 대해 더 큰 자부심과 긍지를 느끼고 싶다. 살아가는 모든 순간마다, 내가 하는 모든 일에서 의미와 기쁨을 느끼고 싶다. p38
너무나 즐거운 마음으로, 공감하며 응원하는 마음으로 이 책을 읽으면서 나도 나이가 들어가는 것인가? 하는 생각에 살며시 미소짓게 되었다.
공인이나 정치인들 중에 내가 좋아하는 부류는 정해져있다. '마음대로 누릴 위치와 능력과 영향력을 가진 사람으로 자신보다 못한 사람을 배려하고 돌아보고 포용할 줄 아는 겸손함을 갖추었는가?'라는 조건이 갖추어진 부류이다. 노무현 대통령이나 문재인씨도 그런 류의 사람들이라 생각한다. 비슷한 이유로 유시민씨, 특별히 자연인으로서의 유시민씨를 좋아한다. 지금보다 젊은 시절 이 책에서의 고백처럼 날카로운 공격성으로 무리를 일으킨 부분이 있었다. 사실 그때는 내가 정치인에게는 눈꼽만큼도 관심이 없었기에 그러거나 말거나 남이 일처럼 여기던 시절이었고, 일부는 언론의 왜곡도 한몫 크게 작용했을 것이므로 저자의 열정으로 옳고 그름만 따지던 젊은 날의 패기로 이해한다. 정작 유시민씨에게 관심을 가진 것은 그의 저서 때문이기도 하고, 핵심 권력에서 물러서 있을때 좀더 성숙하고 겸손해진 그의 면모 때문이었다. 여전히 독한 이미지가 편견처럼 많은 사람들의 뇌리에 남아있었을지라도 나는 그의 말과 행동을 미루어 본인의 인격을 위해 노력을 많이 하고 있다는 것을 느끼면서 호감을 가지게 되었다.
삶의 중요한 요소를 놀이와 일과 사랑과 연대라는 네가지로 정리한 이 책은 최근 인생관, 가치관에 대한 전반적인 트렌드와 맞는 내용으로 채워져 있다. 잘하고 좋아하는 일을 즐겁게 하며 밥벌이를 하면 그것이 행복이라는 것이다.
나도 남들처럼 훌륭한 인생을 살고 싶었다. 어떻게 사는 인생이 훌륭할까. 일단 잠정적인 결론을 내렸다. '하고 싶어서 마음이 설레는 일을 하자. 그 일을 열정적으로 남보다 잘하자. 그리고 그걸로 밥도 먹자. 이것이 성공하는 인생이 아니겠는가.' p78
무엇보다 정치라는 명분에 의한 억지일을 내려놓았다는 것에 마치 나의 일처럼 즐거웠다. 일종의 대리만족이자 저자에 대한 응원의 마음일 것이다. 나의 삶을 돌아보면, 내가 하고 있는 일이 생계라는 명분으로 나를 굴러가게 만든다. 이런 과정은 나를 소비시킬 뿐이다. 그러나 밥을 먹는다는 의미는 생존의 문제이기 때문에 차선으로 여기더라도 벗어나기가 무척 힘든 것이다. 내 밥의 문제일 때는 비교적 간단하다. 그런데 우리 가족의 밥의 문제일 때는 얘기가 완전 달라진다. 그런 이유로 이 땅의 아빠, 또는 엄마 들은 오늘도 원치 않는 일을 하기 위해 새벽같이 집을 나서는 것이다. 이것을 과감히 내려놓자는 의미이다. 물론 여기에 안전장치를 걸어준다.
열정과 재능의 불일치는 회피하기 어려운 삶의 부조리이다. 재능이 있는 일에 열정을 느끼면 제일 좋다. 그러나 열정을 쏟을 수 있는 일이기만 하다면, 재능이 조금 부족해도 되는 만큼 하면서 살면 된다. 경쟁은 전쟁이 아니다. 져도 죽지는 않는다. 이겨서 꼭 행복한 것도 아니다. p174
이 문제는 항상 우리 인생에 발목을 잡는다. 누구보다 독보적으로 잘 할 수 있는 재능만 있다면 어느 분야든 자신있게 하고 싶은 일을 열정적으로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 인생중에 자신이 재능있고 하고 싶은 일이 무엇인지 진작에 알아차리고 매진하는 사람이 과연 몇이나 되겠는가? 나는 삼십대 중반이 넘어가도록 내가 무슨 재능이 있는지 발견하지 못했다. 불과 몇달 전만 하더라도 내가 무엇을 좋아하는지 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흐르는 강물에 떠 있는 땟목과 같이 인생의 강을 흘러왔다. 아끼고 사랑하는, 어떤 면에서는 부러운 나의 소중한 아내를 만나지 못했다면 어땠을까? 아마도 뭔가를 정신없이 하고 있었겠지만 소비적인 일에 시간을 허비했을 가능성이 크다. 아내의 영향으로 나는 책을 사랑하게 되고, 이야기꺼리를 생각하고 무언가 글을 쓰는 것을 막연히 즐거운 일이라고 깨닫게 되었다. 가장 가까운 사람으로부터 인생의 지침을 얻은 샘이다. 그런 점에서 보면 나는 아주 행복한 사람이다.
나는 글쓰기로 되돌아왔다. 정치가 싫다거나, 잘할 수 없을 거이라는 좌절감 때문만은 아니다. 내 인생의 남은 시간 동안 내가 원하는 삶을 살고 싶어서다. 인생이라는 너무 짧은 여행이 그리 길게 남지 않아서다. 그래서 더 절실한 마음으로 자문해본다. 나는 지금 잘 살고 있는가? 이 삶은 훌륭한가? 이렇게 계속 살아가도 괜찮은 것인가? 오늘 하루의 모든 순간들은 내게 의미가 있었는가? 나는 세상을 떠날 때 내가 지금 하는 일들에 대해서 스스로 어떤 평가를 하게 될까? 내 마음이 이렇게 대답했다. '직업으로서의 정치'를 떠나 글 쓰는 일로 돌아가자. 마음이 설레고 일상이 기쁨으로 충만한 삶을 살자.
저자가 내린 결론에 나의 마음이 요동한다. 강하게 공감한다. 나역시 책을 읽고 글을 쓰는 일이 하고 싶어졌다. 그래서 자연히 저자의 결정을 응원하게 되는 것이다. 차이가 있다면 저자는 이미 글쓰는 재능에 대해서 검증을 받은 공인된 작가라 할 수 있다는 점이다. 대중적인 관심도 충분히 받고 있는 인기인이다. 이를테면 열정과 재능이 일치함을 확인한 상황일테다. 그러나 나는 전혀 다른 상황에 놓여있다. 30여년동안 집중해서 책을 읽지도 않았고, 오랜 시간 공학을 공부하고 일했다. 제대로 된 독서와 글쓰기를 할 기회가 거의 없었고, 심지어 맞춤법도 공부를 해야할 입장이다. 글쓰기에 있어서는 걸음마도 못 땐 상태인 것이다. 그래서 나도 들뜨고 요동치는 마음을 가라앉히고 저자와 같이 쉰다섯쯤에 직업으로서의 직장인을 그만두고 글쓰기로 돌아간다고 선언을 할까 고민중이다.
오늘날 흔히 보는 조문과 장례식은 떠난 이의 명복을 비는 행사인 동시에 상실감에 빠진 유족을 위로하는 자리이다. 그러나 내가 알지 못하는 내 아이들의 친구나 거래처 직원들이 내 장례식에 오는 것을 나는 원치 않는다. 삶의 기억을 공유하는 사람들과도 그렇게 작별하고 싶지는 않다. 웃는 얼굴로 말을 건네며 함께 삶의 구비를 걸어왔던 이들과 마지막 인사를 나누고 싶다. 흥겨운 파티를 열어 즐겁게 작별하고 싶다. 내 삶과 죽음을 애통함이 아니라 유쾌한 기억으로 남게 하고 싶다.
내 인생의 마지막 순간에는 누구를 초대해야 할까? 저자의 말처럼 즐겁고 유쾌한 마지막 식사자리가 되었으면 좋겠다. 문득 "치즈랑 소금이랑 콩이랑"에서 가쿠타 미츠요가 쓴 [신이 정원]이 떠오른다. 죽음은 슬프고 애통한 일이지만 삶의 연장선이기에 마지막 순간을 따뜻하고 즐거운 기억으로 마감하는 삶도 참으로 아름답겠다. 정말 그랬으면 좋겠다. 저자도, 나도, 당신도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