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부대 - 2015년 제3회 제주 4.3 평화문학상 수상작
장강명 지음 / 은행나무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제목과 소재만으로 이목을 집중시키는 기민한 작품선택

 

   장강명 작가의 신작 [댓글부대]는 "한국이 싫어서"와 마찬가지로 국내독자의 눈길을 한번에 사로잡을 수 있는 제목과 소재를 채용했습니다. 이 작가가 얼마나 상업적인 부분에서 감각이 뛰어난지 확인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게다가 "아직까지는" 각종 문학상 투고작으로 상을 수상하고 있어요. 상금을 타는 장점도 있지만 상당히 상업적이고 자극적인 소재를 쓰고 있기 때문에 일단은 문학상 수상작이라는 옷을 잘 입혀서 어느정도 문학성을 확보하는 작전을 잘 쓰고있습니다. 

 

   이런 소재의 작품을 쓸 수 있다는 것은  아마도 끊임없이 특종을 고민하던 기자적 습성에서 기인한게 아닌가 싶어요. 물론 마냥 '기자출신이니까' 라고 할 수도 없는 것이 김훈작가님도 기자출신이고 이 땅에 수많은 기자들이 있으니 기자출신이면 모두 시대상황에 잘 부합하고 자극적인 소재로 소설을 쓸 수 있다는 설명은 설득력이 없기는 합니다. 그래도 아직까지는 기자적 센스가 많이 뭍어나는 작품들을 골라골라 쓰고 있는 형국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거나 말거나 이 작품은 괴멜스적 선동주의와 국내의 정치적 여건을 적절히 잘 섞어서 독자들의 관심과 이야기꺼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일단 가수든 배우든 심지어 작가일지라도 역시나 대중의 관심을 일단은 받아야 죽이되던 밥이되던 하는 것인데 그 부분에서 근래에 가장 큰 성공을 거두고 있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그리고 이번 작품역시나 그런 그의 특성이 여지없이 발휘된 작품입니다. 

  

 

#2. 대박은 아니어도 중박 이상은 늘~~ 쓸 수 있다고 전해라..

 

   아직까지 장강명작가님의 작품수가 많은 것은 아니지만 지금까지의 진행상황으로 봐서는 빠르게 다작할 수 있는 여지가 충분히 있습니다. 그리고 각 작품을 몇년씩 고민해서 쓰지 않더라도 어느정도 이상의 수준은 보여주는 작품을 지속적으로 써오고 있습니다. 몇몇 취향에 안맞는 작품들도 있지만 전업작가 초기의 다양한 시험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일단 이 작품까지해서  장강명 작가만의 나름의 특징이 구축되었다라고 생각이 됩니다.

 

   일단 중박이상은 되는 가장 큰 이유는 가독성이예요. 빠르고 심플한 전개는 고민하기 싫어하고 살아내기도 벅찬 독자들에게 딱 적당한 독서의 즐거움을 제공해줍니다. 소비자의 니드를 잘 파악하는 작가입니다. 그래서인지 빨리 쓰다보니 그래서인지 몰라도 작품의 길이도 너무 길지 않고 200페이지에서 300페이지 미만의 딱 부담없는 길이로 맞춰주고 있어요.

 

   멋들어진 문장이 나와서 탄성을 지를 일은 없지만 간결하고 쉬운 문장이 역시나 부담없는 독서를 돕고 있습니다. 이 작품의 경우도 마찬가지고 젊은 등장인물들의 행동과 대화, 그리고 독백 등을 스타일있게 잘 표현합니다. 문학적 대화가 아닌 실생활언어를 쓰는 느낌이죠. 저도 이제 슬쩍 꼰대라 젊은친구들 대화패턴을 잘 몰라서 그냥 그런가보다 하는 거지만 말입니다.

 

   아마 앞으로도 이런 식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관심을 받을 수 있을만한 작품들을 꾸준히 빠르게 써낼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3.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구조적 장점과 한계..

 

   이양반 작품이 대체로 그러하지만 이 작품도 마치 기자가 르포기사를 쓴 듯한 느낌의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야기가 전개되다가 인터뷰 하는 장면이 교차되서 진행되는 것이죠. 이런 식의 진행이 어떻게 보면 전형적이기도 하지만 이야기에 입체감을 주는데 도움이 됩니다. 약간의 변화만 주면 트렌드한 느낌도 많이 나고요. 그리고 이 구조에서는 챕터별로 스토리의 맺고 끊음을 하기 용이합니다.

 

   "누구" 같은 작품도 SNS를 소설에 적극적으로 차용해서 일본에서 큰 상을 받은 케이스겠습니다만 이 작품도 역시나 인터넷, SNS 상의 특징과 문제점 등에 대해서 센스있게 잘 파악해서 묘사하고 있습니다. 독자 대부분이 어떤 식으로건 SNS를 활용하고 있는 시대다보니 폭넓게 공감할 수 있는 것도 큰 장점입니다. 그리고 신상털기 같은 인터넷 정보의 사용과 모략 등이 얼마나 위험한 것인지, 온라인 상의 친분이나 교류가 어떤 한계가 있는지도 꽤나 직설적으로 잘 표현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결같이 장강명 작가의 소설에 이슈가 되는 것은 그의 소설이 가지고 있는 프로파간다적 성격의 위험성 때문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이 작품에 등장하는 댓글부대라거나 온라인 공작등의 내용이 무척이나 현실적이고 충분히 있을 법하다고 받아들이는 편입니다. 그러나 소설을 소설로 보아야 한다는 점에서 이 작품이 내포하고 있는 선동적 요소는 경계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소설로 인해 잘 몰랐던 온라인 공작에 대해서 많은 사람들이 알게되고 한번쯤 고민해보는 계기가 된다는 점에서는 무척이나 유익하지만 어디까지 사실로 받아들여야 할지에 대해서는 작가가 조금 무책임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독자가 혼동하는 부분에서 문제의 소지가 있다는 것이죠.

 

   작가는 분명히 허구라고 했으나 내용은 허구같지 않고, 무언가 분명한 메세지가 있고, 사회적 문제를 폭로하는 듯한 스탠스를 취하는 것으로 받아들일 만한 충분한 여지가 있습니다. 괴멜스 운운했지만 어차피 1%의 진실에 99%의 허구를 뒤섞어도 혼동할 수 있는 것이 군중입니다. 그것은 이미 여러차례 증명이 되었고 지금도 여러 미디어를 통해 더이상 증명하기에 입이 아플지경이니까 말입니다. 미디어에 등장한 내용은 다 진실이라고 받아들이는 대한민국 국민은 참으로 미어터지게도 많습니다. 어디서나 만날 수 있어요. 그런 관점에서 이 소설은 무책임함을 내포하고 있어요. 작가의 책임이 아닌데 책임이 있는 상당히 어려운 형국입니다.

 

   그냥 '아 무지막지하게 재미지구만~~' 하고 읽고 말기에는 근원을 알기 힘든 찝찝함을 남기는 것도 그런 이유가 아닐까 합니다. "아.. 찝찝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