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울 케이지 히메카와 레이코 형사 시리즈 2
혼다 테쓰야 지음, 한성례 옮김 / 씨엘북스 / 2012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1. 일본 경찰소설의 한축 혼다 테쓰야...


   저는 개인적으로 경찰소설류를 좋아합니다. 그 중에서도 혼다 테쓰야의 작품을 무척 좋아합니다. 미스터리류를 처음 접할 무렵에 만난 작가이기도 하고,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씨엘북스에서 출간된 작품이다보니 관심이 좀더 많았던 탓도 있습니다. 혼다 테쓰야의 작품중에 국내에서 가장 큰 인기를 얻었던 작품이 여형사 히메카와 레이코 시리즈의 첫번째인 "스트로베리 나이트"입니다. 일명 딸기밤으로 불리는 스트로베리나이트는 드라마로도 제작되었고, 시리즈 중 "감염유희"를 바탕으로 극장판도 제작되었습니다.


   특히 영화 [지금 만나러 갑니다]로 유명한 여배우 다케우치 유코가 주연 히메카와 레이코 역을 맡아 더욱 관심을 받았던... 아니.. 저에게만 관심을 받았던 것인지도 모르지만서도... 개인적으로는 원작보다 드라마와 영화를 먼저 만나서 그런지 역할에 잘 맞는다는 생각이... 아니 이것도 저만 그런건지도 모르겠지만... 여튼 계속 다케우치 유코의 연기를 떠올리면서 읽었습니다. 참, 다케우치 유코가 요즘 관심을 많이 받고 있는 "링"에도 출연했다는... 크흠..


   여튼, 실제로 "지우"시리즈를 먼저 쓴걸로 알고는 있지만 국내에는 스트로베리나이트 시리즈가 먼저 소개되고 "지우"가 훨씬 나중에 출간되었는데도 불구하고 저는 시리즈 첫작품인 "스트로베리 나이트"만 읽고 소울케이지를 안읽고 망설이다가 "지우"시리즈를 재미지게 읽었습니다. 소울케이지를 읽는데까지 이렇게 오랜 시간이 걸린 이유는 사실 드라마를 볼 당시 이 작품의 주요 소재인 "부성"에 대한 지나친 표현이 불편했기 때문입니다. 한편으로는 "스트로베리 나이트"에서도 주인공 레이코의 강도피해 장면을 너무나 자주 되풀이해서 보여주는 편집이 불편하기도 했었기 때문에 책으로 똑같은 경험을 하고 싶지 않은데다가 이 시리즈는 유난히 드라마나 원작이나 스토리가 너무 똑같아서 마치 다 읽은 것 같은 느낌으로다가...


   히토리시즈카 외에 국내에는 지우시리즈와 스트로베리나이트 시리즈만 소개되었고 유일하게 경찰소설이 아닌 작품은 "무사도 식스틴"이 유일한데 실제로 혼다 테쓰야는 경찰소설과 일반소설을 반반씩 쓰려고 했다고 합니다. 기회가 되면 이 작가의 다른 장르의 작품도 읽어봤으면 하는 생각이 듭니다.



#2. 장르소설의 미덕 가독성과 작품의 무게를 더하는 균형미


   이 양반의 작품이 유독 가독성이 좋은 이유는 진지한 주제의식과 디테일한 상황설명, 간결한 문체 등등 많지만 인물간 설정상 유머러스한 요소가 은근히 많기 때문입니다. 저처럼 무겁기만 한 진지한 소설을 부담스러워하는 독자에게 딱 맞는 스타일이랄까? 너무 잘 읽혀서 두께가 느껴지지 않습니다.


   앞에서도 언급했지만 작품의 가장 밑바닥에 깔린 주제의식은 부정, 즉 아버지의 자식사랑인데 드라마를 볼 때 이부분이 조금 과하다는 느낌 때문에 부담스러운 느낌이 있었습니다. 아무래도 영상은 좀더 과장되게 표현하는 부분이 있기마련인데 다행스럽게도 책을 읽을 때는 주인공의 행동자체는 공감이 가지 않았지만 장면에서 느껴지는 거부감은 좀 덜 했습니다. 사건이 벌어지고 풀어가는 과정도 너무 복잡하지는 않지만 끝까지 예측이 어려울 정도의 설정은 유지하는 균형감이 좋았습니다. 너무 복잡하거나 치밀하게 짜놓으면 사실 본격추리를 좋아하는 분들만 환호할 가능성이 높은데 이 작품은 과하지도 심심하지도 않은 지점을 잘 잡고 있습니다.



#3. 대립, 갈등, 화해의 코드를 잘 활용한 캐릭터 설정


   사실 이 시리즈에 등장하는 여주인공 '히메카와 레이코'는 현실에서는 문제가 많은 캐릭터입니다. 독단적이고 사고치고 화합이 안되는 스타일이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촉으로 실적은 좋은 그런 캐릭터입니다. 미워할 수는 없지만 완벽한 캐릭터는 아니죠. 부족하고 약한 부분을 분명하게 가지고 있습니다. 여주인공과 정반대의 성향으로 대립하는 역할로 내세운 쿠사카는 깝깝하지만 자기일에 완벽한 좋은 인물인데도 불구하고 레이코의 과거 사건을 떠올리는 외모때문에 억울하게 미움을 받는데 이 두사람의 미묘한 대립과 협력의 모습이 이야기 전체를 끌어나가는 좋은 동력이 됩니다. 누구한사람 편들기 애매하게 입장이 다를뿐 서로 악감정을 가진 것은 아닌 것도 묘한 특징입니다.


   두 사람이 지나치게 폭주하지 않도록 잘 조율하는 계장도 등장하고, 밑도 끝도 없는 무책임한 조직의 수장들도 등장하는 등, 일반적인 조직사회에서 만날 수 있는 좋은 케이스와 나쁜 케이스를 잘 활용해서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모습도 눈에 띄게 좋습니다. 여기에 주인공이 여성인 만큼 전체 흐름을 해치지는 않는 범위에서 약간의 썸도 양념처럼 활용하고 있습니다. 캐릭터간의 대립과 갈등상황, 각자의 입장에서 최선을 다하는 모습, 결과적으로 협력해서 사건을 해결하는 설정이 부담없이 긍정적인 이야기입니다.


   표지의 손이 무척이나 부담스럽고 무겁게 느껴지지만 무겁지 않고, 생각보다 읽기에 좋아 역시 혼다 테쓰야구나 하는 생각이 들게 하는 작품이었습니다. 진작에 읽을 걸 그랬나 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