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로베리 나이트 히메카와 레이코 형사 시리즈 1
혼다 테쓰야 지음, 한성례 옮김 / 씨엘북스 / 2012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1. 스토리 자체 만으로도 이미 훌륭한 경찰소설의 효시

  

  저는 스트로베리나이트를 드라마로 먼저 만났습니다. 사실 미스터리류는 사건의 진행이 중요하고 그과정에 드러나는 비밀과 이야기가 진행되어가면서 밝혀지는 인과관계, 그리고 충격적인 결말과 반전 등이 참으로 중요합니다. 이런 관점에서 생각해보면 드라마를 먼저 보고난 후에 원작책을 읽는 것은 치명적입니다. 서사가 머리에 다 들어있고 다음 장면이 예상되며 범인은 이미 누군지 꿰뚫고 있으며 대반전에서 '이 대목에서 이런 반전을 줬었지? 후훗ᆢ' 하며 전혀 놀라지 않게 됩니다. 미스터리에서 가장 중요한 긴장감 조성이 불가능하므로 김빠진 콜라 꼴이 되고 마는 것입니다

   그런 식상함을 줄여보고자 최대한 시간텀을 두고 줄거리가 가물가물 할 때까지 좀 묵혀두었습니다. 하지만 막상 책을 들고 읽기 시작하자 드라마의 장면이 새록새록 떠올랐습니다. 그리고 놀랍게도 너무나 흥미진진하게 읽게 되었고 과도할 정도로 몰입되었습니다. 이미 줄거리를 다 알고 있는데도 긴장감 넘치는 경험은 참 뭐라 설명하기 힘듭니다. 어쩌면 등장인물들이 친숙해서 더 몰입이 쉬웠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이렇게 스트로베리나이트라는 작품이 사랑 받을 수 밖에 없는 것은 이야기 자체에서 느껴지는 힘 때문입니다. 그 힘은 이야기의 촘촘한 짜임새에서 나옵니다. 보통 디테일을 강조하다보면 전체적인 모양새가 비틀어지기 마련인데 전체적인 균형미도 더할 나위없이 훌륭합니다. 


#2. 조연까지 놓치지않는 캐릭터의 생생한 생동감

   스트로베리 나이트를 책으로 접하면서 가장 크게 느낀 부분 중 하나가 캐릭터의 생동감입니다. 조연 하나하나까지도 독자를 납득시킬만한 독특한 개성이 있고 사연이 있습니다. 세세한 묘사와 감정선, 그리고 조직 내에서 각자의 입장과 역할, 액션과 리액션이 참으로 유기적으로 잘 잡혀 있습니다. 당연한 귀결이지만 잘 짜여진 탄탄한 설정은 자연히 동일 캐릭터와 배경으로 여러가지 시리즈를 파생시켰고 연이은 성공을 통해 그 탄탄함을 증명해 보였습니다

   여형사를 주인공으로 전면에 내세운 점은 차별화를 통해 눈길을 끄는 기본 요소입니다. 혼다 테쓰야는 경찰조직에 필연적인 선굵은 남성성과 투박함, 거친 태생적 특징을 잘 잡아내면서도 동시에 주인공 레이코의 섬세한 감정선도 놓치지 않고 디테일하게 묘사합니다. 사실 하는 짓만 놓고보면 여주인공 레이코는 상당히 짜증스런 부분이 큽니다. 레이코에 대해 못마땅해하는 책속의 많은 등장인물들은 물론 실제 독자들 중에서도 레이코를 욕하면어 읽는 분들이 꽤나 많았습니다. 그러나 조금더 신경써서 보면 레이코가 그럴수밖 에 없는 정황적 설정은 충분하고 독자들이 납득할 만한 상황입니다. .

 

 
   한편 악역인듯 하면서도 또 이야기가 전개되면서 왜 그런지 이해도 되고 결과적으로 여주인공을 구해주고 사건을 해결하는 역할도 맡는 레이코의 라이벌 간테츠는 묘한 매력을 지닌 캐릭터입니다. 불법을 자행하면서까지 사건을 수사하지만 결코 개인적인 영달을 위해 돈을 쓰는 법은 없습니다. 그리고 레이코의 약점과 위태로운 지점을 꽤뚫어보고 충고하는 따뜻함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이중적인 태도를 지닌 묘한 캐릭터는 상당히 매력적인 법입니다. 그리고 사실은 간테츠를 통해 주인공 레이코의 과거나 성격이나 특징등을 자세히 독자에게 설명하는 역할도 해주고 있습니다.
 
   정보를 파는 악역 짧은 등장인물까지도 우직한 기준을 가지고 있는 실력자로 보여지도록 잘 꾸며주는 저자는 설정 하나도 허투루 쓰는 법이 없는 완벽한 세계를 창조합니다. 그러니 읽는 이가 알차게 재미를 느끼는 것은 당연한 결과일지도 모르겠습니다.
 
 
#3. 드라마와 극장판이 너무 재미있었는데...


   스트로베리 나이트를 실제로 읽어보니 드라마의 설정과 진행이 얼마나 단편적인지 극명하게 알게 되었습니다. 너무 재미있게 봤는데도 불구하고 말입니다. 드라마를 보면서 가장 거슬렸던 부분이 레이코가 공원에서 상처받을 일을 당하는 자극적인 장면을 드라마 시작부터 보여주더니 중간중간에 맥락없이 똑같은 장면을 계속 반복해서 보여주는 것이었습니다. 드라마는 특히 첫회에 자극적으로 호기심을 끌어야하기 때문에 더 그랬겠지만 사정이 이러하다보니 디테일한 부분은 모두 생략되었다고해도 과언이 아니었습니다.
 
   책으로 읽고서야 혼다 테츠야가 얼마나 공을 들여 한땀한땀 이야기 구조를 짜고 각 캐릭터를 입체감있게 표현하며, 주어진 각 장면들을 섬세하고 세세하게 묘사하고 다루는지를 감탄하며 깨닫게 되었습니다. 아, 동시에 드라마가 너무 재밌다고 생각했는데 책에 비하면 얼마나 허술한 것인가?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혼다 테츠야, 이 작가 상당히 매력있구나 하는 생각을 새삼하게 되었지요. '지우'시리즈와는 또 다른 매력이 있었습니다.
 
   참, 266페이지에서 '지우'의 주인공 격인 아즈마가 등장하는 장면은 상당히 반가웠습니다. '지우'에서도 이마이즈미 등 스트로베리 나이트 시리즈 주인공들이 슬쩍 슬쩍 등장해 재미를 더해주었는데 스트로베리 나이트에서도 스치듯이 나왔습니다. 작가가 치밀하게 경찰조직 전체에 얼게를 짜놓고 등장인물들을 잘 설정해 두었었다는 것이 느껴지는 대목입니다. 스케일이 참으로 큰 작가가 아닌가.. 그러면서도 꼼꼼한 장인정신을 지닌 작가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달을 판 사나이]에 연이어 별점을 꽉채워주게 만든 명불허전의 명작입니다. 물론 세상엔 뛰어난 명작들이 워낙 많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트로베리 나이트]의 가치는 특별합니다. 연타석 홈런을 경험한 이번달은 참으로 즐거운 달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