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빅 히스토리 1 : 세상은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 우주의 탄생, 우주.생명.인류 문명, 그 모든 것의 역사 ㅣ 빅 히스토리 Big History 1
이명현 지음, 정원교 그림 / 와이스쿨 / 2013년 10월
평점 :
절판
세상은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빅 히스토리 1 우주의 탄생
우주·생명·인류 문명, 그 모든 것의 역사
이명현 지음 / 정원교 그림
와이스쿨
빅 히스토리(Big History)라! 워낙 과학(이름만 보면 사회 같기는 하지만 내용은 과학이니 과학으로 정의해 본다.)과는 거리가 먼 필자라서 처음 보자마자 걱정부터 하게 되었다.
교과서 보다도 두꺼운 데다가, 다른 세계에 있을 법한 과학(게다가 우주라니!)이라서 더욱 더 거리감이 들었다.
아마 나 말고도 많은 학생들, 그 중에서도 여학생들이 과학을 많이 기피할 것이다. 이해해야 되는 것들은 또 뭐가 그렇게 많은 것인지…. 들어도 졸리기만 한 원리이니 뭐니 하는 것들은 또 왜 그리 어려운지….
물론, 그렇다고 해서 『빅 히스토리』를 읽은 후에 과학을 마스터했다거나 쉬워졌다는 이야기는 결코 아니다.
일단은 이 책,『빅 히스토리』는 137억 년 전 우주의 탄생에서 부터 미래 세상의 종결까지의 우주와 세상의 역사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먼저 137억년 전 우주의 탄생. 135억 년 전 별의 탄생과 원소의 생성, 46억 년 전 태양계와 지구, 38억 년 전 생명의 탄생, 15억 년 전 성의 탄생, 20만 년 전 인류의 등장, 1만 년 전 농경의 시작, 1,500년 전 글로벌 네트워크의 출현, 1,800년 전 산업화의 시작, 그리고 FUTURE(미래). 10개의 대 전환점, 20개의 빅 퀘스천(Big Question)까지.
이 책을, 우주의 탄생과 세상의 시작을 모두 완벽하게 이해 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래도 빅 히스토리라는 방식을 알 수는 있지 않은가? (횡설수설….)
2014.1.14.(화) 이은우(초등6)
- 요즈음 어디서나 이런 '융합'에 대한 주장이 거세게 일고 있다. 두께도그렇고, 내용도 쉽지 않을 듯 해서, 초등학생에게 읽혀도 괜찮을까? 고민하다가, 책 뒷표지에 빌 게이츠의 한 마디를 읽고 그냥 밀어부쳤다. 다소 긴 시간이 거렸지만, 그래도 안 읽은 것 보다는 나을 거라는 위로를 보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