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공회와 공화정, 9월 대학살과 루이 16세 처형 - P61

대학살극 - P62

로베스피에르와 나폴레옹, 장발장과 <레 미제라블> - P63

《레 미제라블》 - P64

나폴레옹 1세 - P65

나폴레옹 몰락이후 - P66

장발장의 이야기 - P67

영화 <원 네이션One Nation, One King>(2018) - P68

우파와 좌파,
보수와 진보의 유래와 구분 - P69

‘우파 좌파‘의 어원과 프랑스혁명 - P69

지롱드파와 자코뱅파 - P69

루이 16세의 처형 문제 - P70

보수주의의 창시자, 에드먼드 버크 - P71

에드먼드 버크(1729~1797)
18세기 후반의 영국 정치가이자 사상가 - P71

《프랑스혁명에 관한 성찰》 - P71

영국 명예 혁명 - P72

《로마제국 쇠망사》 - P73

진보주의의 아버지, 토머스 페인 - P73

《상식(Common Sense)》 - P74

《이성의 시대 The Age of Reason》 - P75

버크와 페인의 논쟁 - P76

평등을 추구하는 과정 - P77

역사적 유래 - P78

필요한사회 변화에 대해 ‘천천히 신중하게 최소한으로‘라고 생각하는쪽이 보수The Conservative - P79

‘빠르고 과감하게 전면적으로‘라고말하는 쪽이 진보The Progressive입니다. - P79

경제, 정책과 더 밀접한 우파 좌파 - P79

경제와 국가의 역할 - P80

예외적인 보수좌파와 진보우파 - P81

다시 해석 - P82

 완성도 높은 구분법, 보비오의 ‘4분면 프리즘‘ - P83

노베르토 보비오Norberto Bobbio라는 이탈리아의 사상가 - P83

정치적 스펙트럼 - P84

권위주의적인 동시에 평등주의적인 ‘극좌‘, 
자유주의적인 동시에 평등주의적인 ‘중도좌파‘, 
자유주의적인 동시에 불평등주의(능력주의)적인 ‘중도우파‘, 
권위주의적인 동시에 불평등주의(능력주의적인 ‘극우‘ - P84

보비오의 주목할 만한 또 다른 주장은 ‘평등주의‘와 ‘평균주의‘의 구분 - P85

우리나라와 미국의 국회의원 - P86

미국의 경우 하원의원과 상원의원 - P87

2부
보수와 진보가
세상을 보는 법 - P89

보수와 진보는 어떻게 세상을 바라볼까 - P91

현실의 부조리 - P91

젊어서 보수주의자인 사람은 심장이 없는 것이고, 늙어서 진보·자유주의자인 사람은 머리가 없는 것이다. - P92

칼 포퍼 - P93

현재는 과거의 정점‘일까, ‘미래의 출발점일까 - P94

타고난 기질 - P95

영화 <다크 나이트>로 이해하는 보수와 진보 - P96

보수의 마음으로 응원하게 되는 배트맨 - P97

진보의 마음으로 응원하게 되는 조커 - P98

배트맨 - P99

조커의 행동은 기존 권력 구조에 대한 도전 - P100

엄격한 아버지 모델 vs. 자애로운 부모 모델 - P101

레이코프는 가정의 양육 모델을 ‘엄격한 아버지strictfather 모델‘과 ‘자애로운 부모nurturant parent 모델‘로 나눔니다. - P10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