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9년 국민의 가장 강력한 욕망은 먹고사는 생존의 문제, 북한의 위협과 사회 내부의 혼란에서 자신과 가족의 안전을 지키는 문제였다. - P55

국가의 진화에 관심이 있는 독자에게는 졸저, 국가란 무엇인가』, 돌베개, 2011을 참*고하시기를 권한다. - P56

안보국가에서 출발해 발전국가와 민주국가를거쳐 복지국가로 나아간 것은 인류의 문명사에서 보편적인 국가의 ‘계통발생‘이다. - P57

그런데 사람의 욕망은 완전히 충족되는 법이 없다. - P58

그라운드 제로, 그리고 욕망의 질주 - P59

한국전쟁 이후 대한민국은 권위와 힘을 가진 지배층이 존재하지 않는 ‘그라운드 제로‘ 사회였다. - P60

권력의 공백 - P61

자유가 아니면 죽음을 달라 - P62

우리는 강력한 역사적·문화적 정체성과 통일성을 가진 민족이다. - P63

제2장 4·19와 5·16
난민촌에서 태어난 이란성 쌍둥이 - P65

냉전의 모델하우스 - P67

"모든 민주주의는 자기 수준에 맞는 정부를 가진다." 
프랑스 정치가 토크빌Alexis de Toqueville(1805~1859) 이 한 말로 알려져 있다. - P68

나는 조선과 중국을 오가면서 무장투쟁을 벌였던 백범 김구 선생과 안중근, 이봉창 의사를 높이 숭앙한다. - P69

임시정부 지도자로 귀국하기 위해서 - P70

한반도 분단의 책임은 북위 38도선 남북을 각자 점령한 미국과 소련에 있다. - P71

김구 선생을 비롯한 중도파 민족주의자들이 분단을 막으려고 38선을 넘나들며 협상을 벌이는 동안 이승만 박사는 차근차근 분단국가의 권력을 장악할 준비를 했다. - P72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 - P73

반민특위의 슬픈 종말 - P74

공산화의 위험을 감수하면서 통일국가로 가는 길과 북한을 공산주의자들에게 넘겨주고 남한에 민주주의 국가를 세우는 길이 있었다. - P75

4.19혁명 일주일 뒤 탑골공원에서 철거되는 이승만 동상(1960년 4월 26일, 좌)과 50년 뒤 남산에 다시 세워지는 이승만 동상(2011년 8월 25일, 우). - P76

역사적 대의명분 - P76

경제적 효율성 - P76

민주접 정당성 - P76

대통령이 정치에서는 친일반민족행위자들과 손을 잡았다. - P78

국회프락치 사건 - P79

친일파 청산 문제 - P81

민족문제연구소 - P82

미완의 혁명 4.19 - P83

3.15 선거는 단순한 부정선거가 아니라 완전한 조작선거였다. - P85

1960년 4.19 당시 시위 현장. - P86

혁명의 불길 - P87

성공한 쿠데타 5ㆍ16 - P90

박정희 소장 - P91

군사혁명위원회를 국가재건최고회의로 - P92

5·16은 단순히 제2공화국을 무너뜨린 것이 아니라 4.19가 만든 모든 것을 파괴해버렸다. - P93

혁명인지 쿠데타인지 - P94

두 번이나 창씨개명 - P95

남로당에 가입한 사실 - P96

정치 신인 김대중
청년 장교 전두환 - P97

1961년 5월 18일 5·16 쿠데타를 지지하며 가두행진을 벌이는 육사생도들. - P98

박정희 대통령은 결코 고결한 인간은 아니었으나 독재자로서는 크게 성공한 것이다. - P99

그 시대를 통과하면서 시민들 자신이 쏟았던 열정과 이루었던 성취, 자기 자신의 인생일 것이라고 - P10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