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는 여러 면에서 이상하다. - P181

물은 소중하다. - P182

소금 - P183

탄소, 유능한 중도 - P184

시비지심 - P185

온실가스 - P186

다른 곳에 다른 형태로 있던 탄소가 풀려나 산소·수소와 결합한 탓에 기후위기가 생겼다. - P187

생명의 중심 - P188

0생명이 존재하려면 DNA처럼 안정한 분자를 만들어야 한다. - P189

결합 방식 - P190

중도 성향 - P191

내 몸은 탄소가 중용의 도를 지킨 덕분에 존재한다. - P192

환원주의 - P193

인문학자는 사회를 정치·경제·문화 등 여러 층위로 나누어 분석하고 그것을 종합해 대한민국을 설명한다. - P194

과학자는 드러내 놓고 환원주의 연구 방법을 쓴다. - P195

사회생물학 - P196

첫째, 인문학을 생물학으로 환원할 수 없다.
둘째, 인문학을 과학과 통합할 수 없다. - P197

환원주의 연구 방법 - P198

통섭의 어려움 - P199

통섭은 통일統一(unification)의 열쇠다. - P200

‘다학문적multidisciplinary 유희‘ - P201

과학자 최재원 - P202

슈뢰딩거 - P203

인문학의 명제 - P206


우리는 어디서 왔고 어디로 가는가 - P207

( 물리학 ) - P207

불확정성의 원리 - P209

uncertainty - P210

세계에 대한 인간의 인식능력의 한계를 보여주는 증거 - P211

양자역학은 우리가 진정 알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보여준다. - P212

전자가 입자라고 생각 - P213

입자는 두 슬릿 중에 어느 하나만 통과한다. - P214

- P215

신은 주사위를 던지지 않는다. - P216

양자역학은 우주를 둘로 갈랐다. - P217

원자 - P218

상대성이론 - P219

뉴턴은 케플러가 인간의 언어로 말한 행성 운동의 법칙을 포함한 물질세계의 일반법칙을 수학으로 서술했다. - P220

아인슈타인은 인류 역사에서 첫손 꼽는 ‘과학 셀럽‘이었다. - P221

우라늄위원회 - P222

상대운동 법칙을 수정 - P223

아인슈타인의 세계 - P224

아인슈타인은 중력이 없는 상황에서 공간·시간·물질을 다루는 특수상대성이론을 먼저 세웠고 10여 년 후에 중력을 고려한 일반상대성이론을 정립했다. - P225

측정 오차 - P226

입자이고 파동 - P227

별에서 온 그대 - P228

빅뱅 - P229

‘우주배경복사‘cosmic microwave background radiation  - P230

별의 이름은 인간의 시선을 반영한다. - P231

중력 수축 - P23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