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두 번째 달, 블루문 ㅣ 창비청소년문학 81
신운선 지음 / 창비 / 2017년 11월
평점 :
한 소녀가 질문 앞에 서 있다. 생명이 중요한가, 여성의 자기결정권이 중요한가.
나도 같은 질문을 고민한 적이 있었다. 대학시절 생명윤리 수업시간. 낙태에 대한 찬반논쟁을 이어갔던 적이 있었다. 각자의 의견대로 자신의 목소리를 높였지만 어떤 결론이 나진 않았다. 마치 태아의 편과 임신여성의 편이 갈린 것처럼 의견이 나눴다. 사실 문제의 결론이 나올 수 없었고 나와서도 안됐다. 수업은 끝났고 공허한 주장들은 쉽게 흩어졌다. 그리고 십년이 지난 지금 수업 시간에 손을 들고 발표를 했던 대학생이었던 나를 떠올린다. 아마 그때 수연의 이야기를 알았더라면 그렇게 경솔하게 내 생각을 말하진 않았을 거라고 후회한다.
이제 수연의 진지한 목소리에 귀를 기울어야한다.
수연은 미혼모를 위한 쉼터 앞에서 과거의 기억을 떠올린다. 자신을 버린 엄마에게 떠맡겨버린 아빠. 그리고 다시 아빠에게 돌아와야 했던 상처.
‘엄마의 흔들리던 눈동자, 나와 눈을 맞추지 않던 아빠의 시선, 내가 몇 번이고 눌렀다 지워버린 전화번호.’
엄마에 대한 원망과 그리움의 기억뿐인 수연이 남자친구 지호의 아이를 임신한다. 고등학교 3학년, 수능시험을 앞두고 결국 그녀는 미혼모 쉼터로 거처를 옮긴다. 아기에 대한 생각은 하루에도 몇 번씩 바뀐다. 불안한 미래를 걱정하며 그녀는 ‘엄마는 어땠을까’라는 막연한 생각에 머무른다.
‘나는 엄마가 어떤 사람인지 더 궁금해졌다.’
‘엄마를 이해하고 싶었지만, 엄마를 이해할 것도 같았지만. 그러기엔 억울했다.’
‘엄마를 닮지 않은 좋은 엄마가 될 수 있을까.’
수연이는 고민과 걱정 속에서도 자신을 일으켜 세워줄 의미들을 찾아간다. 가족으로부터 버림받았고 학교와 사회로부터 차가운 시선을 받지만 수연이는 침착하게 삶의 방향을 잡아나간다. 새로운 의미들이 새로운 삶을 이끌어나간다. ‘엄마’에 대해 그리고 ‘엄마’가 되는 삶에 대해 생각한다. 그리고 이 책의 제목인 ‘블루문’에 대해서도 새로운 이해를 이어간다.
‘지금은 블루문이 모든 불운을 뒤집어쓰는 것에 동의하지 않는다. 사람들이 세워놓은 기준에 어긋났다는 이유로 내 삶을 송두리째 부정당하는 일을 달이가 겪게 하고 싶지 않다.’
수연은 ‘아이인가, 나의 미래인가.’ 사이를 시계추처럼 오고가지만 자신의 삶을 진실 되게 바라보고 이해하며 괴로운 양자택일의 문제를 벗어난다. 그녀의 삶 앞에 놓인 질문 앞에 ‘자신을 있는 그대로 지켜내는 것’이라는 대답을 찾는다. 그 과정은 물론 순조롭지 않았다. 자신에 대한 후회와 지나온 삶과 사람들에 대한 원망 그리고 방황이 계속됐다. 그럼에도 수연은 괴로움 앞에서 도망가지 않고 침착하게 삶을 지켜나간다.
타인의 삶을 이해하는 것. 그리고 새로운 의미들을 발견하는 것이 독서 뒤에 찾아오는 소중한 선물이라는 생각이 든다. 나는 [두 번째 달, 블루문]을 읽으며 수연의 목소리를 통해서 시사적인 이슈라고 생각했던 낙태와 미혼모 문제에 대해서 침착하고 진지하게 생각할 수 있었다. 수연이의 이야기는 가족과 사회의 냉대와 함께 태아의 성장과 임신과정의 어려움을 생생하게 담아낸다. 이야기의 전개는 수연의 시간과 동시에 ‘달이’의 시간도 함께 흐르고 있는 것이다.
이 책은 청소년 미혼모를 주인공으로 삼고 있지만 생명의 소중함을 설파하는 교훈적 이야기도 아니고 성적 자기결정권을 페미니즘의 시각으로 해석하지 않는다. 주인공 수연이가 새로운 삶의 의미들을 찾는 소중한 순간들을 수연이의 목소리로 들려주는 것이다. 하지만 주인공의 목소리와 서사의 힘이 강하기 때문에 과거에 청소년 미혼모들을 바라보는 시선들에 굵직한 메시지를 전한다
.
수연의 이야기는 책과 함께 끝났지만 어디선가 수연의 삶을 살아가는 이들에게 선물처럼 삶의 행복이 찾아와주길 바란다. 나는 그들을 이해했다고 할 수 없지만 잠시나마 타인을 이해하기 위해 시도하는 시간이었다.
‘지금은 블루문이 모든 불운을 뒤집어쓰는 것에 동의하지 않는다. 사람들이 세워놓은 기준에 어긋났다는 이유로 내 삶을 송두리째 부정당하는 일을 달이가 겪게 하고 싶지 않다.’
|